대한민국은 현재 저출산이 사회적 문제입니다.
저출산은 곧 국가 경쟁력 약화로 이어지기에
정부는 저출산을 완화하기 위한 여러 가지
정책들을 펼치고 있습니다. 오늘 소개해 드릴
부모급여 또한 해결책 중 하나입니다.
이 정책은 그간 정부가 선보인 것 중에서도
가장 강력한 정책 중 하나라고 생각하는데
글을 읽어보시고 여러분이 부모급여 대상자라면
즉시 신청하여 혜택을 누리길 바랍니다.
그럼 부모급여 신청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저와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부모급여란 무엇일까요?
아마 이 글을 읽고 계시는 많은 분들이
'영아수당'이라는 걸 들어보셨을 겁니다.
만 0세~1세 아동에게 지급된 수당이었죠.
이 영아수당이 2023년부터는 '부모급여'라는
이름으로 바뀌어 이번달부터 매월 25일에
대상자에게 지급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수당의 명칭이 바뀐 이유는 뭘까요?
'영아수당'은 태어나는 영아 및 아동들에게
혜택을 준다는 느낌이 강했다면 부모급여는
힘들게 영아를 돌보는 부모님들에게 복지혜택을
준다는 인상을 줍니다. 제 생각을 보탠다면
아이를 가지기를 망설이는 부모님들에게
적극적으로 출산을 장려하기 위해 좀 더
직관적으로 명칭을 바꾼 게 아닌가 합니다.
2. 부모급여 지급대상은?
부모급여는 2022년 1월 이후 태어난
만 0세~1세 아이를 가진 부모님께 지급됩니다.
2023년 1월 현재를 기준으로 말씀드리면
2022년 2월 이후 출생-만 0세 부모급여 지급
2022년 1월 출생-만 1세 부모급여 지급
부모님의 재산이나 소득 조건에 관계없이
신청할 수 있으며 만 7세 이하 아동이 받는
'아동수당'과는 별도로 지급되는 수당입니다.
또한 육아휴직 급여를 받고 있는 부모님께서도
신청할 수 있으니 정말 좋은 정책 같습니다.
3. 지급되는 금액은 얼마인가요?
여러분들이 가장 알고 싶은 내용일 것 같습니다.
신청하면 받을 수 있는 금액은 얼마일까요?
앞서 언급한 것처럼 아이의 나이에 따라서
받을 수 있는 금액 또한 달라집니다.
2023년 1월을 기준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만 0세(2022년 2월 이후 출생)-월 70만 원,
만 1세(2022년 1월 출생)-월 35만 원,
만 1세(2021년 2월~12월 출생)-부모급여 제외,
하지만 가정양육수당 15만 원 지급가능합니다.
또한 2024년에는 지급 금액이 늘어날 예정인데
만 0세-월 100만 원,
만 1세-월 50만 원을
받을 수 있게 되니 정말 파격적인 조건입니다.
4. 부모급여 신청방법은?
먼저 2022년 12월을 기준으로 기존의
'영아수당'을 지급받고 계신 부모님께서는
별도로 부모급여를 신청할 필요가 없습니다.
영아수당을 받지 않고 계신 부모님 중에서
부모급여를 지원받고 싶으시다면
아이의 출생 후 60일 이내에 신청해야 합니다.
그러면 아이가 태어난 달부터 소급해서
부모급여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23년 3월 1일에 아이가 태어났다면
60일이 되는 4월 30일까지는 신청해야
부모급여 3월과 4월분을 지원받을 수 있고
그 이후인 5월에 신청을 한다면 신청일이 속한
5월부터 부모급여를 수령할 수 있는 거죠.
경우에 따라 두 달 분의 급여가 누락될 수 있으니
가능하면 빠르게 신청하시는 게 좋습니다.
신청방법은 크게 세 가지가 있습니다.
1. 아이가 등록되어 있는 주소지의 주민센터
내 주변 주민센터 찾기
2. 복지로 홈페이지 방문신청
복지로 부모급여 신청
3. 정부24 홈페이지 방문신청
정부24 행복출산 원스톱서비스
5. 보육료 바우처를 받고 있다면?
현재 만 0세~1세 아동이 있는 부모님 중에서
어린이집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0세~1세의 보육료 바우처는 51만 4천 원인데
만 0세의 경우 지급받는 부모급여가 70만 원이죠.
따라서 보육료 바우처 금액보다 크기 때문에
그 차액인 18만 6천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차액을 지급받을 계좌등록이 필요한데
복지로 홈페이지나 주민센터에서 가능합니다.
매달 15일까지 계좌를 등록하면 25일에
차액을 지급받을 수 있고 그 이후에 등록하면
그다음 달 부모급여와 함께 받게 됩니다.
만 1세 아이를 어린이집에 보낼 경우에는
부모급여보다 보육료 바우처 금액이 크므로
따로 지급되는 급여가 없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6. 정리하며
오늘은 2022년 이후 출생한 아이를 대상으로 한
부모급여에 대해서 상세히 알아보았습니다.
기존의 영아수당이 확대 재개편되면서
지급되는 금액이 커졌을 뿐만 아니라
아동수당과 중복수령이 가능한 점, 그리고
육아휴직급여와 별도로 지원된다는 점에서
매우 활용도가 높은 정책임에 틀림없습니다.
이 글을 읽고 계신 부모님이 지원대상이라면
빠르게 주민센터나 복지로 사이트를 방문하여
혜택을 최대한으로 누리기를 바랍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생활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자동차세 연납 신청하는 3가지 방법 (2) | 2022.12.20 |
---|---|
음식물 과민증 검사와 비용은? (0) | 2022.12.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