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ll About English

be based on 5가지 뜻과 용법 상황별 대화문으로 정복하기

by Feeder 2024. 11. 1.

근거의 표현 "Be Based On"

 

현대 사회는 정보와 데이터가 넘쳐나는 가운데, 우리는 무엇을 믿고 선택할지를 결정해야 하는 순간이 많습니다. 이러한 선택과 판단의 기준이 되는 것은 바로 '근거'와 '기반'입니다. 오늘의 주제인 "be based on"은 기반이나 근거를 넘어서, 우리가 믿는 가치, 정보의 신뢰성, 그리고 어떤 결정을 내리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표현은 주로 논리적인 판단, 감정적인 결단, 경험에 대한 신뢰 등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be based on"의 다섯 가지 의미와 용법을 살펴보며, 각각의 예시를 통해 어떻게 이 표현이 일상에서 적용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be based on 5가지 뜻과 용법 메인사진입니다.


1. 사실에 근거하다

첫 번째 용법은 특정 사실에 기반하여 판단을 내리는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논리적인 결론을 내릴 때나, 객관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결정할 때 자주 쓰입니다.

 

대화문 1: 사실을 기반으로 결정을 내리는 상황
A: Are you sure this product will work for us?
B: Yes, my decision is based on previous customer feedback and test results.
A: So, you’re not just guessing?
B: No, I looked into every detail. The data supports it.
A: That’s reassuring. I trust your judgment.
B: Thanks. I wouldn’t recommend it if I wasn’t confident.

A: 이 제품이 우리에게 잘 맞을 거라는 확신이 있어?
B: 네, 이전 고객들의 피드백과 테스트 결과를 기반으로 결정했어요.
A: 그냥 추측한 게 아니란 거지?
B: 네, 모든 세부 사항을 다 살펴봤어요. 데이터가 뒷받침해 주죠.
A: 안심이 돼. 네 판단을 신뢰할게.
B: 고마워요. 자신이 없다면 추천하지 않았을 거예요.

해설: 여기서 B는 제품의 성능이 이전 피드백과 테스트 결과에 기반하고 있음을 강조하며, 이로써 신뢰성을 높입니다. "be based on"은 사실이나 데이터에 근거하여 자신감을 나타낼 때 활용됩니다.

쓸만한 표현들:

  • feedback: 피드백, 반응
  • test results: 테스트 결과
  • guess: 추측하다
  • look into: 조사하다
  • recommend: 추천하다

728x90

2. 감정에 기반하다

두 번째로, 특정한 감정이나 느낌에 근거하여 행동할 때 사용됩니다. 이 표현은 개인적인 신념이나 감정에서 비롯된 결정을 나타낼 때 적합합니다.

 

대화문 2: 감정을 기반으로 결정을 내리는 상황
A: Why did you choose that particular location for the party?
B: My choice was based on nostalgia. I have so many memories there.
A: That’s really sweet. It must be a special place for you.
B: It is. I wanted everyone to feel that warmth.
A: I can see that. The place has a comforting vibe.
B: Exactly. That’s what I was going for.

A: 왜 그 장소를 파티 장소로 선택했어?
B: 내 선택은 향수에 기반한 거야. 그곳에서 많은 추억이 있어.
A: 정말 멋지다. 너에게 특별한 장소겠네.
B: 맞아. 모두가 그 따뜻함을 느꼈으면 했어.
A: 느껴지더라. 그곳은 편안한 분위기가 있지.
B: 맞아. 그게 내가 의도한 바야.

해설: 이 대화에서는 B가 감정을 기반으로 장소를 선택한 이유를 설명하며, 이로 인해 더욱 개인적인 의미가 부여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be based on'은 감정적인 이유로 특정 선택을 설명할 때 유용한 표현입니다.

쓸만한 표현들:

  • nostalgia: 향수
  • sweet: 멋진, 감동적인
  • comforting: 편안함을 주는
  • vibe: 분위기
  • go for: 목표로 하다

3. 경험에 근거하다

특정한 경험에 기반한 결정을 내릴 때도 사용합니다. 이 표현은 특히 과거 경험에서 배운 교훈을 바탕으로 결정을 내리는 상황에서 유용합니다.

 

대화문 3: 경험에 근거한 판단
A: How do you know this approach will work?
B: My recommendation is based on my experience with similar projects.
A: So, you’ve seen it succeed before?
B: Absolutely. It worked well last time under similar conditions.
A: Then I trust your call.
B: Thanks. I believe it’ll give us the best results.

A: 이 접근 방식이 효과가 있을 거라는 걸 어떻게 알아?
B: 내 추천은 비슷한 프로젝트에서의 경험에 기반한 거야.
A: 그럼 성공하는 걸 본 적이 있구나?
B: 물론이지. 지난번에 비슷한 조건에서 잘 작동했어.
A: 그럼 네 판단을 믿을게.
B: 고마워. 이게 최선의 결과를 가져다줄 거라 믿어.

해설: 여기서 B는 과거 경험을 바탕으로 결정을 내리는 방법을 설명하며, "be based on"을 사용해 신뢰성을 높입니다. 과거의 성공 사례가 현재의 판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서 자주 쓰입니다.

쓸만한 표현들:

  • recommendation: 추천
  • approach: 접근 방식
  • succeed: 성공하다
  • trust your call: 네 판단을 신뢰하다
  • give results: 결과를 가져다주다

4. 신뢰를 바탕으로 하다

때로는 특정한 신뢰를 바탕으로 관계를 유지하거나 결정을 내리는 상황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신뢰를 중요한 요소로 여기며 판단을 내릴 때 유용합니다.

 

대화문 4: 신뢰에 기반한 결속
A: Why do you continue working with that company?
B: My partnership with them is based on mutual trust and respect.
A: That sounds ideal. Trust is hard to come by these days.
B: Exactly. And they’ve proven to be reliable over the years.
A: That’s rare. You’re lucky to have that kind of relationship.
B: I know, and that’s why I stick with them.

A: 왜 그 회사와 계속 일하는 거야?
B: 우리의 파트너십은 상호 신뢰와 존중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A: 이상적이네. 요즘 신뢰를 찾기가 힘들잖아.
B: 맞아. 그리고 그들은 수년간 신뢰할 수 있는 모습을 보여줬어.
A: 드물지. 그런 관계를 맺었다니 운이 좋네.
B: 나도 알아. 그래서 계속 함께하는 거야.

해설: 이 대화에서는 B가 신뢰를 바탕으로 파트너십을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처럼 "be based on"은 서로 간의 신뢰를 기반으로 한 관계나 결정을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쓸만한 표현들:

  • partnership: 파트너십, 협력 관계
  • mutual trust: 상호 신뢰
  • proven: 입증된
  • reliable: 신뢰할 수 있는
  • stick with: 계속 함께하다

5. 데이터 또는 자료에 근거하다

마지막으로, 구체적인 데이터나 자료에 기반한 결정을 내리는 상황에서 사용합니다. 이는 과학적이거나 논리적인 결정을 설명할 때 특히 유용합니다.

 

대화문 5: 데이터 기반 결정을 내리는 상황
A: Are we moving forward with this strategy?
B: Yes, our decision is based on the latest market data.
A: So, the numbers support this approach?
B: Definitely. The statistics show a strong upward trend.
A: That’s good to hear. It gives us confidence in the plan.
B: Exactly. It’s always better to make informed choices.

A: 이 전략으로 진행하는 거야?
B: 그래, 우리의 결정은 최신 시장 데이터에 기반하고 있어.
A: 그럼 숫자가 이 접근 방식을 뒷받침하는 거네?
B: 당연하지. 통계가 강한 상승 추세를 보여주고 있어.
A: 잘됐네. 계획에 대한 신뢰가 생긴다.
B: 맞아. 항상 정보에 근거한 선택을 하는 게 나아.

해설: 이 대화에서 B는 구체적인 데이터에 기반하여 전략을 설명하며, 이로써 계획에 대한 신뢰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be based on"은 데이터나 통계를 바탕으로 한 판단에서 필수적인 표현입니다.

쓸만한 표현들:

  • move forward: 진행하다
  • market data: 시장 데이터
  • support: 지지하다
  • upward trend: 상승 추세
  • informed choices: 정보에 근거한 선택

정리하며

오늘 배운 "be based on"은 단순한 사실이나 정보에 근거한 판단을 넘어서 감정, 경험, 신뢰, 데이터 등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될 수 있는 강력한 표현입니다. 첫 번째로, 객관적인 사실에 기반하여 논리적인 결정을 내릴 때 사용됩니다. 두 번째로, 개인적인 감정에 기반한 선택을 설명할 때도 자주 쓰이며, 이때는 더 감성적이고 인간적인 면을 강조할 수 있습니다. 세 번째로는 경험에 따라 판단할 때 활용되며, 과거의 교훈이 현재의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네 번째로는 신뢰와 상호 존중에 근거하여 관계를 유지하는 상황에서 적절합니다. 마지막으로, 정확한 데이터와 통계 자료에 근거한 판단에서, 이 표현은 전문성과 신뢰성을 더해줍니다.

"Be based on"은 우리가 일상과 업무에서 내려야 하는 많은 결정을 더 탄탄하게 해 줄 수 있습니다. 이 표현을 잘 이해하고 활용하면 단순한 근거 제시를 넘어서, 더 깊이 있는 설명과 신뢰감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여러분의 판단과 결정을 표현할 때, 그 근거와 이유를 명확히 설명해 주는 이 표현을 활용하여 더 신뢰받는 의사소통을 이끌어 나가길 바랍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