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ll About English

be proud of 5가지 상황별 대화문으로 완벽 정리

by Feeder 2024. 11. 3.

자부심의 표현 "Be Proud of"

 

누구나 자신의 노력이나 성취를 통해 스스로 자랑스러움을 느끼는 순간이 있습니다. "Be proud of"는 이러한 자부심과 성취감을 담아내는 표현으로, 자랑스러워하는 것 이상의 의미를 지닙니다. 무언가를 이루었을 때, 사랑하는 사람을 격려할 때, 또는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할 때 이 표현이 자주 쓰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be proud of"의 다섯 가지 주요 용법을 살펴보며, 다양한 상황에서 어떻게 이 표현을 사용할 수 있는지 실감 나는 대화문과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be proud of 5가지 뜻과 용법 메인사진입니다.


1. 자신의 성취에 자부심을 가지다

첫 번째 용법은 개인의 성취에 대해 자부심을 느낄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이 경우, 자신의 노력과 결과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을 강조합니다.

 

대화문 1: 자신이 만든 프로젝트에 자부심을 느끼는 상황
A: I’m really proud of the project I completed last month.
B: I heard it was a big success! How do you feel about it now?
A: Accomplished. I put in so many hours, and it finally paid off.
B: That’s amazing. You deserve to feel proud.
A: Thanks! It’s nice to see hard work actually bring results.
B: You’ve inspired me to push myself more.

A: 지난달에 완성한 프로젝트가 정말 자랑스러워.
B: 큰 성공이었다면서! 지금 어떤 기분이야?
A: 성취감 있어. 정말 많은 시간을 투자했는데, 드디어 결실을 맺었어.
B: 대단하다. 자부심을 느낄 자격이 있어.
A: 고마워! 노력한 결과가 실제로 나타나는 걸 보니 기분이 좋네.
B: 너를 보고 나도 더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해설: 이 대화에서는 자신이 이뤄낸 성과에 대해 자랑스러워하는 장면을 다루고 있습니다. "be proud of"는 자신의 노력과 성취를 인정하는 상황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쓸만한 표현들:

  • be proud of: ~에 대해 자랑스러워하다
  • accomplished: 성취한
  • pay off: 결실을 맺다
  • deserve: ~할 자격이 있다
  • inspire: 영감을 주다

728x90

2. 가족이나 친구의 성취를 자랑스러워하다

두 번째로, 사랑하는 사람이 무언가를 이뤘을 때 느끼는 자부심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가족이나 친구가 힘든 목표를 달성했을 때 그들의 성취를 기뻐하며 칭찬하는 의미로 자주 사용됩니다.

 

대화문 2: 친구의 승진을 자랑스러워하는 상황
A: Guess what? I got promoted!
B: No way! I’m so proud of you!
A: Thanks! It was a lot of hard work, but it finally happened.
B: You totally earned it. You’re always so dedicated.
A: It feels surreal. I wasn’t sure if it would happen this soon.
B: You deserve every bit of it. Let’s celebrate!

A: 있잖아? 나 승진했어!
B: 진짜? 정말 자랑스럽다!
A: 고마워! 힘든 시간이었지만 드디어 됐어.
B: 넌 정말 자격이 있어. 항상 열심히 했잖아.
A: 실감이 안 나. 이렇게 빨리 될 줄 몰랐어.
B: 넌 충분히 그럴 자격이 있어. 축하하자!

해설: 친구가 목표를 달성한 상황에서 상대방의 성취를 축하하고 자랑스러워하는 대화입니다. 이때 "be proud of"는 상대방의 노력에 대한 감사를 포함한 칭찬을 전달합니다.

쓸만한 표현들:

  • get promoted: 승진하다
  • earn it: 그럴 자격이 있다
  • dedicated: 헌신적인
  • surreal: 비현실적인
  • celebrate: 축하하다

3. 자신의 배경이나 정체성에 자부심을 가지다

세 번째 용법은 자신의 문화, 배경, 또는 정체성에 대해 자랑스러움을 느낄 때 사용됩니다. 주로 자신의 뿌리와 관련된 자부심을 나타낼 때 적합합니다.

 

대화문 3: 자신의 문화에 자부심을 가지며
A: I’m so proud of my heritage.
B: That’s wonderful. Have you always felt that way?
A: Not always. It took time to appreciate it fully.
B: What changed?
A: Learning more about my culture helped me understand its beauty.
B: That’s inspiring. Embracing who you are is powerful.

A: 나는 내 문화가 정말 자랑스러워.
B: 멋지다. 항상 그렇게 느꼈어?
A: 그렇지는 않아. 완전히 이해하기까지 시간이 좀 걸렸어.
B: 뭐가 바뀌었어?
A: 문화를 더 알아가면서 그 아름다움을 이해하게 됐어.
B: 정말 영감을 주네. 자신을 받아들이는 건 강력한 일이야.

해설: 이 대화는 자신의 문화와 정체성에 자부심을 가지는 예시입니다. "be proud of"는 이런 상황에서 자신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표현하는 데 유용합니다.

쓸만한 표현들:

  • heritage: 유산, 문화
  • appreciate: 감사하다, 이해하다
  • embrace: 받아들이다
  • inspiring: 영감을 주는
  • powerful: 강력한

4. 어려움을 극복한 과정에 자부심을 가지다

네 번째로, 특정 목표를 이루기 위한 어려운 과정을 거쳐 온 자신을 자랑스러워하는 데도 이 표현이 쓰입니다. 이는 힘든 상황을 이겨내고 성장한 자신의 모습에 대한 자부심을 드러낼 때 사용됩니다.

 

대화문 4: 어려움을 극복한 자신을 자랑스러워며
A: Looking back, I’m proud of everything I went through.
B: It wasn’t easy, was it?
A: Not at all, but I learned so much along the way.
B: That’s amazing. You’ve come so far.
A: Thank you. I wouldn’t change a thing.
B: You’re stronger than you realize.

A: 돌아보면, 내가 겪어온 모든 것이 자랑스러워.
B: 쉽지 않았지?
A: 전혀, 하지만 그 과정을 통해 많은 걸 배웠어.
B: 대단하다. 정말 많은 성장을 했구나.
A: 고마워. 그 어떤 것도 바꾸고 싶지 않아.
B: 넌 생각보다 훨씬 강해.

해설: 어려운 과정을 이겨낸 후 자신의 성장에 자부심을 느끼는 장면입니다. 이처럼 "be proud of"는 개인의 고난과 극복 과정을 묘사할 때 적합합니다.

쓸만한 표현들:

  • look back: 돌아보다
  • go through: 겪다
  • learn along the way: 과정 속에서 배우다
  • come so far: 큰 성장을 이루다
  • stronger than you realize: 스스로 생각한 것보다 더 강한

5. 타인의 성장을 보고 자부심을 느끼다

마지막으로, 가까운 사람이 성장하고 변화하는 모습을 보고 느끼는 자부심을 표현할 때도 사용합니다.

 

대화문 5: 자녀의 성장에 자부심을 느끼며
A: I’m so proud of how much you’ve grown.
B: Thanks, Mom. I couldn’t have done it without your support.
A: Watching you become who you are today has been my greatest joy.
B: That means a lot to me.
A: Just keep being true to yourself.
B: I will. I promise.

A: 네가 이렇게 성장한 게 정말 자랑스러워.
B: 고마워요, 엄마. 엄마의 지지가 없었다면 못 했을 거예요.
A: 지금의 네 모습을 보게 된 것이 내겐 가장 큰 기쁨이야.
B: 그런 말이 정말 큰 힘이 돼요.
A: 그냥 너 자신에게 충실하면 돼.
B: 그럴게요. 약속해요.

해설: 자녀의 성장에 대한 부모의 자부심을 표현한 대화입니다. 이처럼 "be proud of"는 타인의 성장을 응원하고 지지하는 마음을 전할 때 진정성 있는 표현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쓸만한 표현들:

  • have grown: 성장하다
  • support: 지지, 지원
  • greatest joy: 가장 큰 기쁨
  • be true to yourself: 자신에게 충실하다
  • promise: 약속하다

정리하며

오늘 알아본 "be proud of"는 자신의 성취나 주변 사람들의 발전, 그리고 자아에 대한 존중을 표현하는 중요한 표현입니다. 첫 번째로, 개인적인 성취에 대해 자부심을 느낄 때 쓸 수 있습니다. 두 번째로는 가족이나 친구의 성취를 칭찬하고 그들에 대한 자부심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세 번째로는 자신의 문화적 배경이나 정체성에 대한 자부심을 표현하는 데 유용합니다. 네 번째로는 어려움을 극복해 온 자신을 긍정적으로 평가할 때, 다섯 번째로는 가까운 사람의 성장에 대해 자랑스러움을 나타낼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be proud of"는 스스로를 인정하고 사랑하며, 주변 사람들에게 감사와 존중을 표현하는 훌륭한 방법입니다. 일상생활에서 이 표현을 통해 자신과 다른 사람을 격려하고, 더욱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해 보세요. 자부심을 느끼는 대상과 그 순간을 소중히 여기고 진심을 담아 전달하는 이 표현이 여러분의 소중한 관계와 기억에 큰 의미를 더해줄 것입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