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ll About English

cope with 5가지 뜻과 용법 일상 속 대화문으로 정복하기

by Feeder 2024. 10. 27.

"Cope with"는 어떤 의미일까?

 

여러분은 문제가 발생하면 어떻게 대처하시나요? 삶을 살아가다 보면 예기치 못한 도전과 어려움을 마주할 때가 많습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어떻게 그 문제를 받아들이고 해결할 수 있는가입니다. 오늘 살펴볼 표현인 "cope with"는 바로 이러한 어려움에 대처하는 과정을 나타냅니다. 이 표현은 단순히 문제를 피하는 것이 아니라, 맞서서 해결하려는 태도를 강조하는데요. 상황에 따라 '감정적', '심리적', 혹은 '실질적' 대응을 모두 포함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의 포스팅에서는 'cope with'의 다양한 의미와 일상 속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다섯 가지 뜻과 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cope with 5가지 뜻과 용법 메인사진입니다.


1. 어려운 상황에 대처하다

첫 번째로, 감정적으로나 실질적으로 어려운 상황에 대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테면 직장에서 많은 업무를 처리해야 하거나 갑작스러운 개인적인 문제가 생겼을 때, 이 표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대화문 1: 과도한 업무를 처리하는 상황
A: I’m struggling to cope with all the deadlines at work.
B: I get it. It’s overwhelming, but you can do it if you prioritize.
A: That’s easier said than done. There’s just too much.
B: Start small. Break it down into manageable tasks.
A: Maybe I should, but the pressure is still there.
B: I’ve been there. Once you get started, it’ll feel less impossible.

A: 직장에서 마감일을 맞추는 게 너무 힘들어.
B: 이해해. 너무 많아서 힘들겠지만, 우선순위를 정하면 해낼 수 있어.
A: 말이야 쉽지. 할 일이 너무 많아.
B: 작은 것부터 시작해. 관리할 수 있는 작업으로 나눠 봐.
A: 그럴까 생각 중이야. 그래도 압박감은 여전해.
B: 나도 그랬어. 일단 시작하면 덜 불가능하게 느껴질 거야.

해설: 이 대화는 직장에서 과도한 업무를 처리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A와 그에게 해결책을 제시하는 B의 대화를 보여줍니다. B는 업무를 작은 단위로 나누어 관리하는 방법을 제안하며 A를 격려합니다. 'cope with'은 이렇게 직장에서 과중한 업무에 대처하는 상황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쓸만한 표현들:

  • struggle to: ~하는 데 애쓰다
  • overwhelming: 감당하기 힘든
  • prioritize: 우선순위를 정하다
  • manageable: 관리 가능한
  • get started: 시작하다

728x90

2. 감정을 처리하다

이 표현은 또한 감정을 다루고 처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슬픔, 스트레스, 불안 등 감정적으로 어려운 순간에 이 표현을 통해 감정적인 대응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대화문 2: 감정적으로 어려운 순간을 겪는 상황
A: How are you coping with everything that’s been happening?
B: Honestly, not very well. It’s been a rough couple of weeks.
A: I can imagine. If you ever need to talk, I’m here.
B: Thanks. I just don’t know how to process it all.
A: It takes time. You don’t have to figure it out all at once.
B: I know, but it’s hard to stay patient.

A: 요즘 일어난 일들을 어떻게 견디고 있어?
B: 솔직히 잘 못하고 있어. 몇 주가 너무 힘들었어.
A: 이해돼. 언제든 말하고 싶으면 얘기해.
B: 고마워. 근데 다 어떻게 정리해야 할지 모르겠어.
A: 시간이 걸리는 거야. 한꺼번에 다 해결하려고 할 필요는 없어.
B: 알아, 그래도 인내하는 게 쉽지 않아.

해설: 이 대화는 감정적으로 힘든 상황에 대처하고 있는 B와 그를 위로하는 A의 대화를 보여줍니다. 감정적으로 복잡한 상황에서 'cope with'은 이를 어떻게 처리하는지에 대해 이야기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쓸만한 표현들:

  • cope with: ~에 대처하다, ~을 견디다
  • rough couple of weeks: 힘든 몇 주
  • process: (감정을) 처리하다, 정리하다
  • figure out: 이해하다, 해결하다
  • stay patient: 인내심을 유지하다

3. 예상치 못한 문제에 대처하다

세 번째로, 예상치 못한 문제나 상황에 대처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갑작스러운 변화나 긴급 상황에 대해 즉각적인 대응을 요구할 때 사용됩니다.

 

대화문 3: 갑작스러운 문제를 해결하는 상황
A: The power’s out, and we’re in the middle of the meeting. How are we going to cope with this?
B: Let’s not panic. We can move the meeting online if needed.
A: But some of the participants don’t have access to the internet right now.
B: Then we’ll reschedule. It’s not ideal, but we can’t control everything.
A: You’re right. I guess we’ll have to adjust.
B: Exactly. Flexibility is key in situations like this.

A: 전기가 나갔어, 회의 중간인데 이걸 어떻게 해결하지?
B: 당황하지 말고, 필요하면 회의를 온라인으로 옮길 수 있어.
A: 그런데 몇몇 참가자들은 지금 인터넷에 접속할 수 없어.
B: 그럼 일정을 다시 잡아야겠지. 이상적이진 않지만 모든 걸 통제할 수는 없잖아.
A: 네 말이 맞아. 일정을 조정해야겠네.
B: 맞아. 이런 상황에선 유연성이 중요해.

해설: 이 대화에서는 갑작스럽게 전기가 나가는 상황에 어떻게 대처할지 고민하는 두 사람의 대화를 보여줍니다. 'cope with'은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해결책을 찾는 과정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쓸만한 표현들:

  • power’s out: 전기가 나가다
  • panic: 당황하다
  • move online: 온라인으로 옮기다
  • reschedule: 일정을 다시 잡다
  • flexibility: 유연성

4. 육체적인 어려움에 맞서다

때로는 육체적으로 힘든 상황에 대처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육체적 고통이나 불편함을 견뎌내고 해결하는 것을 말합니다.

 

대화문 4: 부상에서 회복 중인 상황
A: How are you coping with the recovery process after your injury?
B: It’s slow, but I’m making progress. Physical therapy helps.
A: That’s great to hear. I know it’s been tough.
B: Yeah, some days are harder than others, but I’m sticking with it.
A: Keep going. You’ll get there eventually.
B: Thanks, I’ll try. It’s a matter of patience now.

A: 부상 후 회복 과정은 어떻게 되고 있어?
B: 천천히지만 진전이 있어. 물리치료가 도움이 돼.
A: 잘됐다. 많이 힘들었을 텐데.
B: 맞아, 어떤 날은 더 힘들기도 하지만 계속해 나가고 있어.
A: 계속해. 결국엔 회복할 거야.
B: 고마워, 노력해 볼게. 지금은 인내의 문제야.

해설: 부상에서 회복 중인 B의 이야기를 통해 육체적 어려움에 대처하는 과정에서 'cope with'을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 보여줍니다. 육체적 고통이나 회복 과정에서도 이 표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쓸만한 표현들:

  • recovery process: 회복 과정
  • physical therapy: 물리치료
  • make progress: 진전을 이루다
  • stick with it: 계속하다
  • patience: 인내

5.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다

마지막으로, 복잡한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해 나가는 데 사용됩니다. 직장이나 일상에서 복잡한 프로젝트나 과제를 처리할 때 자주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대화문 5: 복잡한 프로젝트를 다루는 상황
A: This project is more complex than I expected. I don't know how to cope with it.
B: Take it step by step. You don’t have to figure it all out at once.
A: But there are so many moving parts. It’s overwhelming.
B: Focus on one aspect at a time. You’ll manage it better that way.
A: I guess you’re right. I’ll break it down into smaller tasks.
B: Exactly. That’ll help you stay on track.

A: 이 프로젝트가 생각보다 복잡하네.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모르겠어.
B: 한 단계씩 진행해. 한꺼번에 다 해결하려고 할 필요는 없어.
A: 하지만 여러 가지 요소들이 너무 많아서 감당이 안 돼.
B: 한 번에 한 부분씩 집중해. 그렇게 하면 더 잘 관리할 수 있을 거야.
A: 네 말이 맞아. 작은 작업들로 나눠서 처리해 볼게.
B: 정확해. 그렇게 하면 계획대로 진행할 수 있을 거야.

해설: 이 대화에서는 복잡한 프로젝트를 처리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A가 B의 조언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을 배우고 있습니다. 복잡한 문제를 작게 나누어 처리하는 것은 'cope with'이 가진 해결책 중심의 의미를 잘 드러냅니다. 이처럼 업무나 일상에서 복잡한 상황을 처리하는 과정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쓸만한 표현들:

  • complex: 복잡한
  • moving parts: 여러 요소들
  • overwhelming: 감당할 수 없는
  • break down: 분해하다, 나누다
  • stay on track: 계획대로 진행하다

결론

오늘 배운 'cope with'은 다양한 상황에서 어려움을 극복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표현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첫 번째로, 직장에서 과도한 업무를 처리할 때 이 표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로, 감정적으로 힘든 순간에도 마음을 다스리고 어려움을 견디는 데 적합한 표현입니다. 세 번째로, 예상치 못한 문제나 갑작스러운 상황에서도 이를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방식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네 번째로는 육체적 어려움을 견디고 회복하는 과정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복잡한 문제나 프로젝트를 해결할 때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도 상황이 아무리 어렵더라도 문제를 작게 나누고 한 단계씩 해결해 나가며 감정적, 신체적으로 스스로를 돌볼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앞으로 여러분이 직면할 다양한 어려움에서 이 표현을 활용하여 현명하게 문제를 해결해 나가길 바라며 오늘의 글을 마칩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