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ll About English

depend on 뜻과 용법 5가지 대화문으로 완벽 정리

by Feeder 2024. 10. 27.

신뢰와 의존의 표현 "Depend on"

 

어떤 일이 생길 때는 수많은 변수가 작용합니다. 여러 상황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기 마련이죠. 그래서 우리는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요인들에 "의존"하게 됩니다. 영어에서 "depend on"이라는 표현은 단순히 누군가에게 기대거나 무언가에 의지하는 것을 넘어서, 때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쓰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변 사람에게 지원을 요청하거나, 상황에 맞춰 결정을 내릴 때도 'depend on'이 중요하게 사용됩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 표현의 다섯 가지 의미와 용법을 살펴보며, 상황에 맞게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예시들을 소개해 보겠습니다. 각 용법이 어떻게 다르게 사용되는지, 실제 상황을 통해 하나씩 이해해 보세요.

depend on 5가지 뜻과 용법 메인사진입니다.


1. 어떤 것에 의지하다

첫 번째로, 단순히 누군가나 무언가에 의지할 때 사용됩니다. 이 표현은 우리가 도움이나 지원을 필요로 하는 상황에서 자주 쓰이며, 특히 신뢰할 수 있는 사람이나 도구에 대해 이야기할 때 적합합니다.

 

대화문 1: 친구가 도움을 주려고 하는 상황
A: I’m not sure I can handle this project alone.
B: You know you can depend on me if you need help.
A: Really? I don’t want to burden you.
B: It’s no burden at all. I’ve got your back.
A: Thanks. It’s good to know I have someone to rely on.
B: Anytime. That’s what friends are for.

A: 이 프로젝트를 혼자 감당할 수 있을지 모르겠어.
B: 도움이 필요하면 나한테 의지해도 돼.
A: 정말? 부담 주고 싶진 않은데.
B: 전혀 부담되지 않아. 네 뒤엔 내가 있어.
A: 고마워. 의지할 수 있는 사람이 있다는 게 좋아.
B: 언제든지. 친구 좋다는 게 뭐야.

해설: 이 대화에서 A는 프로젝트에 대해 부담을 느끼고 있고, B는 친구로서 A가 필요할 때 의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다짐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depend on'은 어려운 상황에서 신뢰와 지원을 표현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쓸만한 표현들:

  • handle: 감당하다
  • burden: 부담
  • I've got your back: 네 뒤엔 내가 있어
  • rely on: 의지하다
  • anytime: 언제든지

728x90

2. 상황에 따라 달라지다

두 번째로, 결과가 특정 상황이나 조건에 따라 달라질 때에도 쓰입니다. 이는 특정 상황이 조건을 결정하는 경우 자주 사용되며, "상황에 따라 다르다"는 뜻으로도 해석됩니다.

 

대화문 2: 상황에 따라 다르다
A: Do you think we’ll go hiking this weekend?
B: It depends on the weather. If it rains, we’ll have to cancel.
A: That’s true. Do you have a backup plan?
B: We could go to the museum instead.
A: Sounds good. I hope the weather holds up, though.
B: Me too. But let’s be ready either way.

A: 이번 주말에 등산 갈 수 있을 것 같아?
B: 날씨에 달렸지. 비가 오면 취소해야 할 거야.
A: 맞아. 대신할 계획은 있어?
B: 박물관에 가는 것도 괜찮을 것 같아.
A: 좋은 생각이야. 그래도 날씨가 좋아지면 좋겠어.
B: 나도 그래. 어쨌든 준비해 두자.

해설: 여기서 A와 B는 주말 계획이 날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대화를 나누고 있습니다. 'depend on'은 이처럼 결과나 결정이 특정 조건에 의해 좌우될 때 사용됩니다.

쓸만한 표현들:

  • hiking: 등산
  • backup plan: 대비 계획
  • hold up: 유지되다, 계속 좋다
  • cancel: 취소하다
  • either way: 어느 쪽이든

3. 경제적인 지원을 받다

세 번째로, 경제적 지원에 의존하거나 특정 수입원에 의지할 때 사용됩니다. 특히, 누군가에게 금전적으로 지원을 받는 상황을 설명할 때 자주 등장합니다.

 

대화문 3: 경제적으로 의존하는 상황
A: Are you still living with your parents?
B: Yeah, I depend on them while I finish school.
A: That makes sense. Education isn’t cheap.
B: Exactly. They’re helping me with tuition and rent.
A: It’s great that they’re so supportive.
B: I’m really grateful. I hope I can repay them someday.

A: 아직 부모님과 같이 살고 있어?
B: 응, 학교 다니는 동안은 부모님께 의지하고 있어.
A: 그럴만해. 교육비가 만만치 않지.
B: 맞아. 부모님이 학비랑 집세 도와주고 계셔.
A: 부모님이 정말 지원을 많이 해 주시네.
B: 정말 감사해. 언젠가 꼭 보답하고 싶어.

해설: 여기서 B는 학비와 집세를 부모님의 경제적 지원에 의존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습니다. 'depend on'은 이처럼 금전적 도움이나 지원을 받는 상황을 설명할 때 쓰입니다.

쓸만한 표현들:

  • live with: ~와 함께 살다
  • make sense: 이해가 되다, 그럴만하다
  • tuition: 학비
  • supportive: 지원해 주는
  • repay: 보답하다

4. 무언가에 대한 신뢰를 표현하다

네 번째로, 어떤 정보나 사실을 신뢰하는 것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특정 정보나 사람을 신뢰하여 의지할 때 효과적인 표현입니다.

 

대화문 4: 신뢰에 대한 두 사람의 대화
A: Do you think I should trust his advice?
B: You can depend on him. He’s always honest.
A: I guess I just needed reassurance.
B: He wouldn’t steer you wrong. He knows his stuff.
A: Thanks, that’s really helpful.
B: Anytime. Trust is everything, right?

A: 그의 조언을 믿어야 할까?
B: 믿어도 돼. 그는 항상 정직하잖아.
A: 그냥 확신이 필요했어.
B: 그는 너를 잘못 이끌지 않을 거야. 잘 알고 있는 사람이니까.
A: 고마워. 정말 도움이 돼.
B: 언제든지. 신뢰가 중요하지, 맞지?

해설: 이 대화에서 B는 A에게 특정 조언자의 신뢰성을 강조하며, 그 사람의 조언을 따르라고 권하고 있습니다. 'depend on'은 이처럼 신뢰할 수 있는 사람이나 정보에 대한 믿음을 표현하는데 유용합니다.

쓸만한 표현들:

  • advice: 조언
  • reassurance: 확신
  • steer someone wrong: 잘못된 방향으로 이끌다
  • know one’s stuff: 자신의 분야에 대해 잘 알다
  • trust: 신뢰

5. 생존을 위해 의존하다

마지막으로 생존이나 필수적인 자원에 대한 의존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물이나 공기 같은 필수 자원을 설명할 때 자주 쓰입니다.

 

대화문 5: 필수 자원에 의존하는 상황
A: Did you know we depend on bees for a third of our food supply?
B: Really? I had no idea they were that important.
A: They pollinate so many crops that we eat every day.
B: Wow, that’s incredible. We should really protect them.
A: Absolutely. Without bees, our food system would collapse.
B: I’ll definitely look into ways to help preserve them.

A: 우리가 먹는 음식의 3분의 1은 벌에 의존한다는 거 알아?
B: 정말? 벌이 그렇게 중요한 줄 몰랐어.
A: 그들이 매일 우리가 먹는 작물들을 수분해 줘.
B: 와, 정말 대단하네. 진짜 보호해야겠다.
A: 맞아. 벌이 없으면 우리의 식량 시스템이 무너질 거야.
B: 벌을 보호하는 방법을 꼭 찾아봐야겠어.

해설: 여기서 A와 B는 인간의 생존을 위해 벌의 중요성을 논의하며, 필수적인 자원에 대한 의존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depend on'은 이처럼 생존과 밀접하게 관련된 자원에 대한 의존을 나타낼 때 효과적입니다.

쓸만한 표현들:

  • food supply: 식량 공급
  • pollinate: 수분하다
  • crop: 작물
  • protect: 보호하다
  • preserve: 보존하다

결론

오늘 살펴본 ‘depend on’은 단순히 누군가나 무언가에 의지하는 것을 넘어, 조건에 따라 결정되는 상황, 경제적 지원, 신뢰, 그리고 생존 자원에 이르는 폭넓은 의미를 가집니다. 첫 번째로, 우리가 어려울 때 도움을 받기 위해 의지하는 표현으로 사용됩니다. 두 번째로, 결과가 특정 조건에 따라 달라질 때도 이 표현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세 번째로는 경제적 지원을 받을 때, 네 번째로는 믿고 따를 수 있는 대상에 대한 신뢰를 나타낼 때 쓰이며, 마지막으로 필수 자원에 대한 생존적 의존을 설명하는 데 유용합니다.

어떤 일이든 신중하게 대처하고자 할 때, 다양한 의존 대상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앞으로 'depend on'을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해 보며, 표현력과 영어의 깊이를 더해보세요. 여러 상황에서 이 표현을 적용하면서, 신뢰와 의존의 관계를 더욱 확장해 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