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ll About English

belong to 뜻과 용법 5가지 대화문을 따라하며 완벽하게 이해하기

by Feeder 2024. 10. 26.

"Belong to"는 어떤 의미일까?

 

여러분은 얼마나 많은 집단에 소속되어 있나요? 우리는 가족, 학교, 직장, 동아리 등 다양한 집단에 속하며 살아갑니다. 이처럼 우리는 인생을 살아가며 끊임없이 다양한 소속감을 경험하게 됩니다. 오늘의 주제인 "belong to"는 특정 그룹이나 집단에 속하는 것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이 표현은 정서적, 사회적, 심리적 소속감을 나타낼 때도 자주 사용되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belong to'의 다섯 가지 뜻과 용법을 살펴보고, 이 표현이 일상생활에서 어떻게 쓰일 수 있는지 다양한 대화문과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belong to 5가지 뜻과 용법 메인사진입니다.


1. 집단이나 조직에 속하다

첫 번째 의미는 특정 집단이나 조직에 속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이 표현은 주로 자신이 어떤 회사, 학교, 동아리 등의 구성원임을 말할 때 사용됩니다.

 

대화문 1: 소속된 회사에 대한 대화
A: Which company do you belong to?
B: I work for Tech Innovations.
A: Oh, I’ve heard great things about that company. How long have you been there?
B: About three years now. It’s been a great experience so far.
A: That’s awesome. It sounds like you really belong there.
B: Yeah, I feel like I do. The team is great, and I love the work.

A: 어느 회사에 소속되어 있니?
B: 나는 Tech Innovations에서 일해.
A: 아, 그 회사에 대해 좋은 이야기를 많이 들었어. 거기서 얼마나 일했어?
B: 이제 3년 정도 됐어. 정말 좋은 경험이었어.
A: 대단하다. 너한테 딱 맞는 회사인 것 같아.
B: 응, 그런 것 같아. 팀도 좋고, 일이 마음에 들어.

해설: 이 대화는 A가 B에게 어느 회사에 소속되어 있는지 묻는 상황입니다. 'belong to'는 이 경우 회사라는 특정 집단에 속하는 것을 나타내며, 그 소속감을 느끼는지 여부를 대화에서 강조하고 있습니다.

쓸만한 표현들:

  • belong to: ~에 속하다
  • work for: ~에서 일하다
  • great experience: 좋은 경험
  • feel like: ~한 느낌이 들다

728x90

2. 소유나 소속을 나타내다

두 번째로, 특정 물건이나 사람이 누구의 소유인지, 누구에게 속하는지를 나타낼 때도 자주 사용됩니다.

 

대화문 2: 물건의 주인을 묻는 상황
A: Hey, whose jacket is this?
B: I think it belongs to Sarah. She left it here after the meeting.
A: I’ll return it to her tomorrow then.
B: Thanks. I didn’t even notice she left it.
A: No problem. It’s easy to forget things when you’re in a hurry.
B: That’s true. I’ve forgotten my keys here more than once.

A: 이 재킷 누구 거야?
B: 사라 거 같아. 회의 끝나고 두고 갔어.
A: 그럼 내일 그녀한테 돌려줄게.
B: 고마워. 그녀가 두고 간 줄도 몰랐어.
A: 별거 아니야. 급할 때 물건을 잊고 가기 쉽지.
B: 맞아. 나도 열쇠를 여기 두고 간 적이 한두 번이 아니야.

해설: 이 대화에서는 A가 누구의 재킷인지 묻는 상황을 다룹니다. 'Belong to'는 물건의 주인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사용되며, 재킷이 사라에게 속한다는 사실을 자연스럽게 설명합니다.

쓸만한 표현들:

  • belong to: ~의 것이다
  • whose: 누구의
  • return: 돌려주다
  • in a hurry: 급하게
  • forget: 잊어버리다

3. 특정 장소나 환경에 적합하다

세 번째로, 사람이 특정 장소나 환경에 적합하거나 그곳에서 편안함을 느낀다는 의미로도 사용됩니다.

 

대화문 3: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고 있는 상황
A: Do you think I belong in this city?
B: Absolutely. You’ve adapted really well.
A: I wasn’t so sure at first, but now it feels like home.
B: I told you it would grow on you. This city has a way of making people feel welcome.
A: Yeah, I really feel like I belong here now.
B: I’m glad to hear that. It’s a great place to live.

A: 내가 이 도시에 어울린다고 생각해?
B: 당연하지. 정말 잘 적응했잖아.
A: 처음엔 확신이 없었는데, 이제는 여기가 집처럼 느껴져.
B: 마음에 들 거라 했잖아. 이 도시는 사람들을 따뜻하게 맞이하는 분위기가 있거든.
A: 응, 이제는 나도 여기 잘 맞는 것 같아.
B: 그렇게 생각한다니 기쁘네. 여기 살기 좋은 곳이야.

해설: 이 대화는 A가 새로운 도시에서 자신이 잘 어울리는지 고민하는 장면입니다. 'Belong to'는 이 경우 A가 도시에서 편안함을 느끼고 그곳에 잘 적응했음을 나타냅니다.

쓸만한 표현들:

  • adapt: 적응하다
  • feel like home: 집처럼 느껴지다
  • grow on someone: 점점 마음에 들게 되다
  • welcome: 환영하다

4. 특정 세대나 시대에 속하다

네 번째로, 특정 세대나 시대에 속하거나, 그 시기의 대표적인 특징을 나타낼 때도 사용됩니다.

 

대화문 4: 세대 차이에 대해 이야기하는 상황
A: Sometimes I feel like I don’t belong to this generation.
B: Why do you say that?
A: I don’t really relate to all the technology and trends.
B: I get that, but every generation has its challenges. You just have to find your own place within it.
A: I guess you’re right. Maybe I’ll fit in eventually.
B: You will. Just give it time.

A: 가끔 내가 이 세대에 속하지 않는 것 같아.
B: 왜 그렇게 말해?
A: 모든 기술이나 트렌드에 공감이 잘 안 돼.
B: 이해해, 하지만 모든 세대에는 나름의 어려움이 있지. 그 안에서 네 자리를 찾기만 하면 돼.
A: 네 말이 맞아. 언젠간 잘 맞게 될 거야.
B: 그럼. 시간이 지나면 다 해결 돼.

해설: 이 대화는 A가 자신이 현재 세대에 잘 맞지 않는다고 느끼는 상황을 다룹니다. 'Belong to'는 이 경우 A가 특정 세대에 속하지 않는 것 같다는 느낌을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쓸만한 표현들:

  • belong to: ~에 속하다
  • generation: 세대
  • relate to: 공감하다
  • fit in: 잘 맞다, 적응하다
  • give it time: 시간이 지나면 해결되다

5. 특정 목적이나 용도에 속하다

마지막으로, 어떤 물건이나 사람이 특정 목적이나 용도에 맞는지, 혹은 그에 속하는지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대화문 5: 물건의 용도를 묻는 상황
A: What does this tool belong to?
B: It belongs to the garden set. We use it for trimming the bushes.
A: Oh, I see. I thought it was part of the kitchen tools.
B: Easy mistake to make. They do look similar.
A: I’ll make sure to keep it with the gardening supplies from now on.
B: Thanks, that’ll help a lot.

A: 이 도구는 어디에 쓰는 거야?
B: 정원 도구 세트에 속해. 덤불을 다듬을 때 써.
A: 아, 그렇구나. 나는 주방 도구인 줄 알았어.
B: 그럴 수 있어. 비슷하게 생겼거든.
A: 이제부터는 정원 도구랑 같이 둘게.
B: 고마워. 큰 도움이 될 거야.

해설: 이 대화는 A가 도구의 용도를 묻는 상황을 다룹니다. 'Belong to'는 여기서 특정 도구가 어디에 속하는지, 즉 어떤 용도로 쓰이는지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쓸만한 표현들:

  • garden set: 정원 도구 세트
  • trimming: 다듬기
  • easy mistake: 쉽게 할 수 있는 실수
  • gardening supplies: 정원용품

정리하며

오늘 살펴본 'belong to'는 단순히 어떤 것에 속하는 것을 넘어, 소속감, 소유, 적합성, 그리고 특정한 시대나 목적에 속하는 다양한 의미를 가진 표현입니다. 첫 번째로, 집단이나 조직에 속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두 번째로, 물건의 소유자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물건의 주인을 설명할 때 유용합니다. 세 번째로는 특정 장소나 환경에 잘 맞거나 적합하다는 의미로, 새로운 환경에 적응할 때 쓸 수 있습니다. 네 번째로는 특정 세대나 시대에 속하는 상황을 나타내며, 다섯 번째로는 물건이나 도구가 특정 용도나 목적에 맞는지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여러분도 이 표현을 통해 자신의 소속감이나 특정 물건의 주인을 설명하고, 새로운 환경에서 적응하는 과정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다양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는 'belong to'를 활용하여, 여러분의 대화에 풍부한 표현력을 더해보시길 바랍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