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ll About English

cheat on 5가지 뜻과 용법 대화문으로 정복하기

by Feeder 2024. 10. 18.

배신과 부정의 표현 "Cheat on"

 

여러분, 혹시 배신감이란 감정을 느껴본 적이 있으신가요? 특히 가장 가까운 사람에게서 그런 경험을 했다면, 그 상처는 더욱 깊을 것입니다. "cheat on"이라는 표현은 단순히 시험에서 부정행위를 하는 것만을 뜻하는 것이 아닙니다. 사람 간의 신뢰를 저버리고 다른 누군가에게 마음이 가거나, 의무를 저버리는 상황에서 흔히 사용되는 강력한 표현입니다. 이 표현은 사람 간의 관계, 특히 연인이나 배우자 사이에서 발생하는 배신감을 말할 때 자주 등장하죠. 오늘의 글에서는 'cheat on'의 다섯 가지 의미와 상황에 맞는 용법을 자세히 살펴보고, 이를 어떻게 일상생활에서 정확히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cheat on 5가지 뜻과 용법 메인사진입니다.


1. 연인을 배신하다

가장 흔히 사용되는 의미는 연인이나 배우자를 배신하는 것입니다. 이는 신뢰를 저버리고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맺는 상황을 말합니다.

 

대화문 1: 연인을 배신하고 바람피우는 상황
A: I heard you cheated on Sarah. Is that true?
B: I... I made a mistake. I don't know what I was thinking.
A: How could you do that to her? She trusted you.
B: I know, and I regret it every day.
A: Trust is not something you can easily rebuild.
B: I’ll do whatever it takes to make it right.

A: 너 사라 속이고 바람피웠다며. 사실이야?
B: 나... 실수했어. 내가 무슨 생각을 한 건지 모르겠어.
A: 어떻게 그녀한테 그럴 수 있어? 그녀는 너를 믿었잖아.
B: 알아, 그리고 매일 후회하고 있어.
A: 신뢰는 쉽게 회복할 수 있는 게 아니야.
B: 어떻게든 다시 바로잡을 거야.

해설: 이 대화는 누군가 연인을 배신한 사실을 알게 된 상황을 다루고 있습니다. 상대방의 신뢰를 저버린 후 그에 대한 후회와 이를 회복하려는 의지를 담고 있습니다. 배신은 관계에 큰 상처를 남기며, 그 신뢰를 다시 회복하기 위해선 많은 시간이 필요합니다.

쓸만한 표현들:

  • cheat on: ~를 배신하다
  • make a mistake: 실수를 하다
  • regret: 후회하다
  • trust: 신뢰
  • make it right: 바로잡다

728x90

2. 시험에서 부정행위를 하다

두 번째 의미로, 시험이나 평가에서 부정행위를 하는 상황을 말합니다. 이 표현은 특히 학교나 직장에서 발생하는 부정행위와 관련이 있습니다.

 

대화문 2: 시험에서 부정행위를 한 상황
A: Did you seriously cheat on the final exam?
B: I didn’t mean to, I was just really desperate.
A: That’s not an excuse. You could get expelled for that.
B: I know, but I panicked.
A: You should’ve just asked for help. Cheating will only make things worse.
B: You’re right. I messed up big time.

A: 너 진짜로 기말 시험에서 부정행위를 했어?
B: 그럴 생각은 없었는데, 너무 절박했어.
A: 그건 변명이 안 돼. 퇴학당할 수도 있어.
B: 알아, 그런데 너무 당황했었어.
A: 그냥 도움을 요청했어야지. 부정행위는 상황을 더 악화시킬 뿐이야.
B: 네 말이 맞아. 크게 잘못했어.

해설: 이 대화는 시험에서 부정행위를 한 학생이 그로 인해 어려움에 처한 상황을 묘사합니다. 부정행위는 즉각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더 큰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쓸만한 표현들:

  • cheat on the exam: 시험에서 부정행위를 하다
  • desperate: 절박한
  • be expelled: 퇴학당하다
  • panic: 당황하다
  • mess up: 실수하다

3. 기대를 저버리다

세 번째로, 누군가의 기대를 저버리는 상황에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사람들의 신뢰나 기대를 저버리고, 약속을 지키지 않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대화문 3: 기대를 저버린 상황
A: You really cheated on the team when you didn’t show up to the match.
B: I didn’t mean to. Something came up last minute.
A: You could’ve at least called. We were counting on you.
B: I know, and I’m really sorry about it.
A: It’s hard to trust you when you don’t follow through.
B: I’ll make it up to the team next time, I promise.

A: 네가 경기 안 나온 건 우리 팀을 배신한 거야.
B: 그런 의도는 아니었어. 갑자기 일이 생겼어.
A: 최소한 전화는 했어야지. 우리 모두 네게 기대하고 있었어.
B: 알아, 정말 미안해.
A: 약속을 안 지킬 때마다 널 신뢰하기가 어려워져.
B: 다음번엔 반드시 만회할게. 약속해.

해설: 이 대화는 팀원으로서 약속을 지키지 않아 팀의 기대를 저버린 상황을 나타냅니다. 이처럼 'cheat on'은 관계나 기대를 저버릴 때 사용할 수 있으며,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책임 있는 행동이 필요합니다.

쓸만한 표현들:

  • cheat on the team: 팀을 배신하다
  • count on: 기대하다
  • follow through: 약속을 지키다
  • make it up: 만회하다

4. 규칙을 어기다

네 번째로, 규칙이나 규율을 어길 때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표현은 게임이나 공식적인 상황에서 규칙을 어기거나 편법을 사용하는 경우에 자주 쓰입니다.

 

대화문 4: 게임에서 규칙을 어긴 상황
A: You cheated on the game, didn’t you?
B: What? No, I just found a loophole.
A: That’s still cheating. You didn’t follow the rules.
B: Everyone else does it.
A: Just because they do doesn’t make it right.
B: Fine, I won’t do it again.

A: 너 게임에서 규칙 어겼지, 그렇지?
B: 뭐? 아니야, 그냥 빈틈을 찾았을 뿐이야.
A: 그래도 그건 부정행위야. 규칙을 안 지킨 거잖아.
B: 다른 사람들도 다 그렇게 해.
A: 다른 사람들이 한다고 해서 그게 옳은 건 아니야.
B: 알겠어, 다시는 안 그럴게.

해설: 이 대화는 게임에서 규칙을 어긴 상황을 다룹니다. 'cheat on'은 규칙을 어기고 편법을 사용하는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정정당당한 경쟁의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습니다.

쓸만한 표현들:

  • cheat on the game: 게임에서 부정행위를 하다
  • loophole: 빈틈
  • follow the rules: 규칙을 따르다
  • make it right: 바로잡다
  • everyone else: 다른 사람들

5. 체계나 시스템을 속이다

마지막으로 큰 체계나 시스템을 속이는 것을 나타낼 때도 쓰입니다. 예를 들어, 세금을 속이거나 법적인 규제를 회피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대화문 5: 내야 할 세금을 회피한 상황
A: I can’t believe you cheated on your taxes.
B: It wasn’t as bad as it sounds. I just bent the rules a little.
A: That’s illegal, and you could get into serious trouble.
B: I know, but everyone I know does it.
A: Doesn’t make it right. You should fix it before it’s too late.
B: You’re right, I’ll fix it.

A: 네가 탈세를 했다는 게 믿기지 않아.
B: 그렇게 나쁘게 들리진 않아. 그냥 규칙을 조금 어긴 거야.
A: 그건 불법이야, 큰 문제가 될 수도 있어.
B: 알아, 근데 내가 아는 사람들 모두 그렇게 해.
A: 그렇다고 옳은 건 아니지. 늦기 전에 바로잡는 게 좋을 거야.
B: 네 말이 맞아, 고칠게.

해설: 이 대화는 세금과 같은 법적인 문제에서 규칙을 어긴 상황을 나타냅니다. 'cheat on'은 이처럼 법적 체계나 규제를 속이려 할 때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행동은 결국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법을 속이는 것은 결국 본인에게 더 큰 위험을 가져다줄 수 있기에, 이런 행동은 피해야 한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쓸만한 표현들:

  • cheat on your taxes: 세금을 속이다
  • bend the rules: 규칙을 어기다
  • illegal: 불법의
  • serious trouble: 심각한 문제
  • fix it: 고치다

정리하며

오늘 살펴본 'cheat on'은 단순히 누군가를 속이거나 부정행위를 하는 것뿐만 아니라, 신뢰를 저버리고 관계나 규칙을 어기는 것을 포함한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첫 번째로, 연인이나 배우자를 배신하는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로는 시험이나 중요한 평가에서 부정행위를 할 때 자주 쓰이며, 세 번째로는 누군가의 기대를 저버리거나 책임을 다하지 않을 때도 사용됩니다. 네 번째로는 게임이나 규칙을 어기는 상황에서, 마지막으로는 세금이나 법적인 체계를 속이는 상황에서도 'cheat on'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cheat on'은 다양한 상황에서 신뢰와 규칙을 어기는 행위를 표현하는 강력한 언어 도구입니다. 일상에서 이 표현을 사용할 때는 그 뉘앙스와 맥락을 잘 이해하고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사람과의 관계에서는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신중하게 행동하고 약속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러분도 오늘 배운 'cheat on'의 의미와 용법을 기억하시고, 일상생활에서 책임감 있게 행동하시길 바라며 오늘의 글을 마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