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ll About English

do away with 뜻과 용법 5가지 대화문으로 완벽 정리

by Feeder 2024. 10. 18.

"Do away with"는 어떤 의미일까?

 

우리 일상에서 변화를 이루고자 할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낡고 불필요한 것들을 정리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무언가를 없애거나 제거하는 행위는 때로는 큰 변화를 일으키는 시작점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주제인 "do away with"는 바로 이와 같은 상황에서 자주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이 표현은 물건을 버리는 것을 넘어, 제도나 규칙, 심지어는 습관까지도 제거하거나 없애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do away with'의 다섯 가지 뜻과 용법을 살펴보며, 각 용법이 실제 생활에서 어떻게 쓰일 수 있는지 다양한 대화문과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do away with 5가지 뜻과 용법 메인사진입니다.


1. 제도나 규칙을 폐지하다

첫 번째 의미는 제도나 규칙을 폐지하는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이는 오래된 법이나 규정을 없애거나 새로운 시스템으로 대체하는 상황에서 적합한 표현입니다.

 

대화문 1: 낡은 제도를 폐지하는 상황
A: Did you hear the news? They’re planning to do away with that old tax law.
B: Finally! That law was outdated and didn’t make any sense anymore.
A: Right? It’s about time they replaced it with something modern.
B: I wonder what new system they’ll put in place.
A: Whatever it is, it’s got to be better than what we had.
B: Agreed. This change was long overdue.

A: 소식 들었어? 그 오래된 세법을 폐지하려고 한대.
B: 드디어! 그 법은 너무 구식이고 이제는 말도 안 됐지.
A: 맞아, 이제는 뭔가 현대적인 걸로 바꿀 때가 됐지.
B: 어떤 새로운 시스템을 도입할지 궁금해.
A: 뭐든지 지금 있던 것보단 나을 거야.
B: 동의해. 이 변화는 정말 오래 걸렸어.

해설: 이 대화는 낡은 세법을 폐지하려는 소식에 대해 두 사람이 대화하는 상황입니다. 이처럼 'do away with'은 낡고 시대에 뒤떨어진 법률이나 제도를 없애는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쓸만한 표현들:

  • do away with: 폐지하다, 없애다
  • outdated: 구식의
  • make sense: 말이 되다
  • put in place: 도입하다
  • long overdue: 오래전에 이루어졌어야 했던

728x90

2. 물리적인 것을 제거하다

두 번째로, 물리적인 물건을 제거하거나 없앨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쓰레기, 오래된 가구 등 더 이상 필요 없는 물건을 없애는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대화문 2: 오래된 물건을 버리는 상황
A: We really need to do away with all this old furniture.
B: I’ve been saying that for months! It’s just taking up space.
A: Do you think we should donate it or just throw it away?
B: Let’s see if we can donate it first. If not, then we’ll toss it.
A: Sounds good. It’s about time we cleared out this room.
B: Agreed. We’ll have so much more space once it’s gone.

A: 이 오래된 가구들을 정말 없애야 해.
B: 내가 몇 달 전부터 그 얘기 했잖아! 공간만 차지하고 있어.
A: 기부할까 아니면 그냥 버릴까?
B: 우선 기부할 수 있는지 알아보자. 안 되면 버리자.
A: 좋아. 이 방을 정리할 때가 됐어.
B: 동의해. 다 치우면 공간이 훨씬 넓어질 거야.

해설: 이 대화는 오래된 가구를 어떻게 처리할지 고민하는 장면입니다. 'do away with'은 이처럼 불필요한 물리적인 물건을 버리거나 제거하는 상황에 자주 사용됩니다.

쓸만한 표현들:

  • do away with: 제거하다, 없애다
  • take up space: 공간을 차지하다
  • donate: 기부하다
  • toss: 버리다
  • clear out: 치우다, 정리하다

3. 습관을 없애다

세 번째로, 나쁜 습관이나 행동을 없애는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오랫동안 지속해 온 불필요하거나 해로운 습관을 버리려는 결심을 나타낼 때 유용한 표현입니다.

 

대화문 3: 나쁜 습관을 버리는 상황
A: I really need to do away with my habit of staying up late.
B: Yeah, that’s not doing you any favors. You look exhausted all the time.
A: I know, but it’s so hard to break the cycle.
B: Maybe you could start by setting a strict bedtime.
A: That’s a good idea. I’ll try that and see if it helps.
B: Stick with it! You’ll feel so much better once you get into a routine.

A: 늦게까지 깨어 있는 습관을 정말 없애야 해.
B: 맞아, 그게 너한테 아무 도움이 안 돼. 항상 피곤해 보여.
A: 알아, 하지만 이 사이클을 끊기가 너무 어려워.
B: 엄격한 취침 시간을 정하는 것부터 시작해보는 게 어때?
A: 좋은 생각이야. 그거 시도해보고 효과가 있는지 볼게.
B: 끝까지 해봐! 규칙적인 생활을 하면 훨씬 나아질 거야.

해설: 이 대화는 나쁜 생활 습관을 개선하려는 의지를 보여줍니다. 'do away with'은 나쁜 습관을 없애는 상황에서 자주 사용되며, 특히 자기 관리나 생활 개선에 대한 대화에서 유용합니다.

쓸만한 표현들:

  • do away with: 습관을 없애다
  • break the cycle: 악순환을 끊다
  • strict bedtime: 엄격한 취침 시간
  • get into a routine: 규칙적인 생활을 하다
  • exhausted: 지친

4. 법적 처벌을 없애다

네 번째로 법적 처벌이나 규제, 또는 불합리한 제약을 제거할 때 사용될 수 있습니다. 특히 형벌 제도나 불필요한 제한을 폐지하는 맥락에서 이 표현이 적합합니다.

 

대화문 4: 불필요한 규제를 폐지하는 상황
A: There’s been talk of doing away with mandatory minimum sentences.
B: That’s a huge step in the right direction.
A: I agree. Those laws have been too harsh for too long.
B: It’s about time they started focusing on rehabilitation instead.
A: Absolutely. People deserve a second chance, not just punishment.
B: Exactly. We need a more humane system.

A: 의무적인 최소 형량을 폐지하려는 이야기가 있더라.
B: 그건 정말 옳은 방향으로 가는 큰 걸음이야.
A: 나도 동의해. 그 법은 너무 오랫동안 지나치게 가혹했어.
B: 이제는 재활에 집중할 때가 됐지.
A: 맞아. 사람들에게는 처벌이 아니라 두 번째 기회가 필요해.
B: 그렇지. 더 인간적인 시스템이 필요해.

해설: 이 대화는 형벌 제도 개선에 대한 논의를 담고 있습니다. 'do away with'은 불합리한 법적 처벌이나 규제를 없애는 맥락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됩니다.

쓸만한 표현들:

  • mandatory minimum sentences: 의무적 최소 형량
  • rehabilitation: 재활
  • harsh: 가혹한
  • step in the right direction: 옳은 방향으로 가는 한 걸음
  • humane: 인간적인

5. 생명을 끊다 (강한 표현)

마지막으로 극단적인 상황에서 생명을 끊는다는 뜻으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표현은 매우 강하며, 범죄나 자살과 관련된 대화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대화문 5: 극단적인 범죄 상황
A: Did you hear about that crime? The suspect tried to do away with the witness.
B: That’s horrible! Why would someone go that far?
A: I guess they were scared of getting caught.
B: Still, taking someone's life is beyond unacceptable.
A: I know. It’s terrifying what people will do when they're desperate.
B: I hope justice is served. No one should get away with something like that.

A: 그 범죄에 대해 들었어? 용의자가 증인을 없애려고 했대.
B: 끔찍해! 어떻게 그런 극단적인 선택을 할 수 있지?
A: 아마 들킬까 봐 두려워서 그랬던 것 같아.
B: 그래도, 사람의 목숨을 빼앗는 건 도저히 용납할 수 없어.
A: 맞아. 사람들이 자포자기하면 무슨 짓을 할지 정말 무섭다니까.
B: 정의가 꼭 실현되길 바래. 그런 사람이 빠져나가서는 안 돼.

해설: 이 대화는 극단적인 범죄 상황을 다루며, 'do away with'이 누군가의 생명을 끊으려는 의도로 사용된 예시입니다. 이는 일반적인 일상 대화에서는 자주 쓰이지 않으며, 매우 강한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는 표현입니다. 이러한 표현은 매우 신중하게 사용되어야 하며, 특히 법적, 범죄적 맥락에서 다뤄집니다.

쓸만한 표현들:

  • do away with: 생명을 끊다 (극단적인 상황에서)
  • suspect: 용의자
  • get caught: 들키다, 잡히다
  • justice is served: 정의가 실현되다
  • get away with: (처벌을) 모면하다

정리하며

오늘 살펴본 'do away with'은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표현입니다. 첫 번째로, 낡은 제도나 규칙을 폐지할 때 사용할 수 있고, 두 번째로는 물리적인 물건을 제거할 때도 자주 사용됩니다. 또한, 나쁜 습관을 버리는 것처럼 개인적인 삶에서도 이 표현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법적 처벌이나 불합리한 규제를 없애는 네 번째 용법은 사회적 변화와 관련이 있으며, 마지막으로는 매우 강력한 의미로 생명을 끊는 상황을 다룰 때 사용됩니다.

여러분도 일상생활이나 중요한 대화에서 이 표현을 적절히 사용해보세요. 낡은 규칙을 없애고 새로운 변화를 만들어가거나, 나쁜 습관을 버리는 등의 상황에서 'do away with'를 사용해 여러분이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