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int out"는 어떤 의미일까?
여러분은 누군가의 잘못을 지적해야 할 상황에 놓인 적이 있나요? 우리가 일상에서 마주하는 크고 작은 상황 속에서, 때로는 상대방이 보지 못한 실수를 말해주는 것이 중요한 책임이 될 때가 있습니다. 그렇지만, 지적이라는 것은 때로는 불편하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point out"이라는 표현은 그저 잘못된 점을 지적하는 데 그치지 않고, 중요한 사실을 강조하거나 상대방의 주의를 끌 때도 널리 사용됩니다. 오늘은 이 강력한 표현을 통해 어떻게 효과적으로 소통하고, 다양한 맥락에서 활용할 수 있는지 다섯 가지 뜻과 용법을 대화문을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1. 잘못을 부드럽게 지적할 때
가장 흔한 용법은 상대방의 잘못을 지적하는 상황입니다. 이때, 상대방에게 실수나 오류를 부드럽게 알리면서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도로 사용됩니다.
대화문 1: 잔소리하지 않고 부드럽게 지적하는 상황
A: I noticed you didn't close the window last night.
B: Oh no, did something happen?
A: Not really, but it got quite cold in the living room.
B: I completely forgot! Thanks for pointing that out.
A: No worries, just thought you might want to know for next time.
B: I appreciate it. I’ll make sure to check it tonight.
A: 어젯밤에 창문을 닫지 않았던 거 같아.
B: 아, 아니! 무슨 일 있었어?
A: 큰 일은 없었는데, 거실이 좀 추웠어.
B: 완전히 깜빡했네! 말해줘서 고마워.
A: 별말 아니야. 다음번에 참고하라고 얘기한 거야.
B: 고마워. 오늘 밤엔 꼭 확인할게.
해설: 이 대화는 상대방의 실수를 부드럽게 지적하면서도, 상대에게 부담을 주지 않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 point out: 지적하다, 알려주다
- close the window: 창문을 닫다
- get cold: 추워지다
- forget: 잊다, 깜빡하다
- make sure: 반드시 ~하다
2. 중요한 사실을 강조할 때
두 번째로, 상대방이 간과한 중요한 사실을 지적해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point out"은 이때 유용하게 쓰이며, 주의를 집중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대화문 2: 중요한 사실을 지적하는 상황
A: Did you realize that the meeting time was changed?
B: No, I hadn’t noticed. When did they update it?
A: They sent an email last night, but not everyone saw it.
B: Thanks for pointing that out. I would’ve missed it otherwise.
A: You should probably check your inbox more often.
B: Definitely, I’ll make sure to do that from now on.
A: 회의 시간이 바뀐 거 알고 있어?
B: 아니, 몰랐는데. 언제 바뀐 거야?
A: 어젯밤에 이메일로 보냈는데, 다들 못 본 것 같아.
B: 말해줘서 고마워. 아니었으면 놓칠 뻔했어.
A: 메일함을 좀 더 자주 확인하는 게 좋을 것 같아.
B: 그러게, 앞으로는 꼭 확인할게.
해설: 이 대화에서는 상대방이 놓쳤을 수 있는 중요한 사실을 지적해 주고 있습니다.
- realize: 알아차리다
- update: 업데이트하다, 변경하다
- inbox: 메일함
- miss: 놓치다
- from now on: 앞으로
3. 실수에 대해 친절하게 알려줄 때
세 번째로, 상대방의 작은 실수를 지적하되, 친절하고 협력적인 태도로 전달하는 대화입니다.
대화문 3: 상대방의 실수를 친절하게 지적하는 상황
A: I think you misspelled the client’s name in the report.
B: Really? I thought I double-checked everything.
A: It happens. Just wanted to point it out before we send it.
B: Thanks, I’ll fix it right away.
A: No problem, better to catch these things early.
B: Absolutely, I appreciate the heads up.
A: 보고서에서 고객 이름을 잘못 쓴 것 같아.
B: 정말? 다 두 번 확인했는데.
A: 그럴 수도 있지. 발송하기 전에 알려주고 싶었어.
B: 고마워, 바로 고칠게.
A: 괜찮아, 이런 건 미리 잡는 게 좋지.
B: 맞아, 미리 알려줘서 고마워.
해설: 이 대화는 상대방의 작은 실수를 지적하되, 친절하고 협력적인 태도로 전달하는 대화입니다.
- misspell: 철자를 잘못 쓰다
- double-check: 두 번 확인하다
- fix: 고치다, 수정하다
- catch: 발견하다
- heads up: 미리 알림
4. 대화 중에 주의를 환기시킬 때
네 번째로, 단순한 지적이 아닌, 무언가를 강조하고 주의를 끌 때에도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누군가가 놓친 것을 말해줄 때 사용될 수 있습니다.
대화문 4: 중요한 대화 중 주의를 환기하는 상황
A: Can I point something out about our strategy?
B: Sure, what’s on your mind?
A: I think we’re overlooking a key competitor.
B: You’re right, we haven’t really discussed them.
A: They’ve been gaining market share lately.
B: Good point. We should definitely include them in our analysis.
A: 우리 전략에 대해 한 가지 지적해도 될까?
B: 물론이지, 무슨 생각하고 있어?
A: 우리가 중요한 경쟁자를 간과하고 있는 것 같아.
B: 맞아, 그들에 대해 별로 논의하지 않았지.
A: 그들이 최근 시장 점유율을 늘리고 있어.
B: 좋은 지적이야. 분석에 반드시 포함시켜야겠어.
해설: 이 대화는 전략 논의 중에서 주의를 환기시키고 중요한 점을 지적하는 상황을 보여줍니다.
- point out: 지적하다
- overlook: 간과하다
- competitor: 경쟁자
- gain market share: 시장 점유율을 늘리다
- analysis: 분석
5. 비판적 지적을 할 때
마지막으로 비판적인 피드백을 주고받는 상황에서 상대방을 돕기 위한 건설적인 지적을 다룹니다.
대화문 5: 비판적으로 지적하는 상황
A: I just wanted to point out that your argument lacks some supporting evidence.
B: I see. Do you think I should add more sources?
A: Yes, it would make your case much stronger.
B: Thanks for the feedback. I’ll work on that.
A: No problem, just thought it would help improve your presentation.
B: I appreciate it. Better to refine it now than later.
A: 네 주장이 조금 근거가 부족한 것 같아서 지적하고 싶었어.
B: 그렇구나. 출처를 더 추가하는 게 좋을까?
A: 응, 그러면 네 주장이 훨씬 더 강력해질 거야.
B: 피드백 고마워. 그 부분을 좀 더 보강할게.
A: 문제없어. 발표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것 같아서 말한 거야.
B: 고마워. 나중보다 지금 수정하는 게 낫지.
해설: 이 대화는 비판적인 피드백을 주고받는 상황에서 상대방을 돕기 위한 건설적인 지적을 다룹니다.
- lack: 부족하다
- supporting evidence: 지원하는 증거
- feedback: 피드백
- improve: 개선하다
- refine: 다듬다, 수정하다
정리하며
"Point out"이라는 표현은 상대방의 잘못을 지적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습니다. 우리는 이 표현을 통해 잘못을 부드럽게 지적하고, 중요한 사실을 강조하며, 때로는 특정한 사람이나 상황에 주의를 집중시키는 강력한 소통 도구를 얻게 됩니다. 상대방의 입장을 존중하며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는 것은 관계의 깊이를 더하고, 문제 해결의 첫걸음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 배운 다양한 용법을 생활 속에서 활용해, 여러분의 소통을 더 섬세하고 지혜롭게 만들어 보세요. 때로는 한 번의 "point out"이 대화의 흐름을 바꾸고, 더 나은 결정을 이끌어낼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하시길 바라며 오늘의 글을 마칩니다.
'All About English' 카테고리의 다른 글
pull out 유래와 4가지 뜻 대화문으로 끝내기 (1) | 2024.10.14 |
---|---|
pull off 5가지 뜻과 용법 완벽 정리 (7) | 2024.10.14 |
pick out 5가지 뜻과 용법 제대로 알기 (4) | 2024.10.14 |
pass by 뜻 5가지 대화문으로 끝내기 (0) | 2024.10.13 |
mess up 가지 뜻과 용법 마스터하기 (2) | 2024.10.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