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ll About English

suffer from 5가지 뜻과 용법 일상 대화문으로 정복하기

by Feeder 2024. 10. 31.

"Suffer from"는 어떤 의미일까?

 

우리가 살아가다 보면 신체적, 정신적인 고통에 시달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상에서의 크고 작은 어려움부터 만성적인 질병까지, 참으로 다양한 형태의 고통과 불편함이 존재하죠. 영어에서 이것을 나타내는 'suffer from'이라는 표현이 있는데요. 이 표현은 단순히 질병을 겪는 상황뿐만 아니라 감정적, 심리적 어려움을 표현할 때도 폭넓게 사용됩니다. 그래서 오늘은 ‘suffer from’의 다양한 뜻과 용법을 통해 일상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고통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suffer from 5가지 뜻과 용법 메인사진입니다.


1. 질병이나 신체적 고통을 겪다

첫 번째로, 신체적 질병이나 고통을 표현할 때 많이 사용됩니다. 특히 만성 질환이나 반복적인 통증 등 꾸준히 겪는 신체적 문제에 사용됩니다.

 

대화문 1: 만성 두통에 시달리는 상황
A: I had another terrible headache this morning.
B: That’s been happening a lot lately, hasn’t it?
A: Yeah, I think I suffer from chronic migraines.
B: Have you tried seeing a specialist?
A: I have, but nothing seems to help much.
B: You should try keeping a headache diary. It might help pinpoint the triggers.

A: 오늘 아침에도 또 심한 두통이 있었어.
B: 요즘 자주 그렇지 않아?
A: 응, 만성 편두통이 있는 것 같아.
B: 전문의에게 진찰받아 봤어?
A: 가봤는데 별로 효과가 없어.
B: 두통 일지를 써 보는 건 어때? 원인을 찾는 데 도움이 될지도 몰라.

해설: 이 대화에서는 A가 만성 편두통으로 고통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B는 두통 일기를 통해 두통을 유발하는 원인을 찾아보라고 조언합니다. ‘suffer from’은 이처럼 만성적인 신체적 고통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쓸만한 표현들:

  • chronic: 만성의
  • specialist: 전문의
  • pinpoint: 정확히 찾아내다
  • triggers: 유발 요인
  • headache diary: 두통 일기

728x90

2. 감정적 고통을 겪다

두 번째로, 감정적인 고통이나 불안감을 나타낼 때도 사용됩니다. 우울증이나 불안감과 같은 심리적인 문제에 적합합니다.

 

대화문 2: 불안감에 시달리는 상황
A: I don’t know why, but I feel anxious all the time.
B: Maybe you suffer from anxiety. Have you considered talking to someone about it?
A: I guess I should, but it feels hard to open up.
B: It’s normal to feel that way, but sharing might help.
A: I’ll think about it. Thanks for listening.
B: Anytime. You’re not alone in this.

A: 왜 그런지 모르겠는데 항상 불안해.
B: 아마 불안장애가 있는 걸 수도 있어. 누구에게 이야기해 볼 생각은 했어?
A: 그래야겠지, 그런데 속마음을 털어놓기 힘들어.
B: 그런 기분이 드는 건 정상인데, 말하는 게 도움이 될 거야.
A: 생각해 볼게. 들어줘서 고마워.
B: 언제든지. 넌 혼자가 아니야.

해설: 이 대화에서는 A가 지속적인 불안감에 시달리고 있으며, B는 이를 이해하며 공감해주고 있습니다. 심리적 고통에 대해 이야기할 때도 ‘suffer from’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쓸만한 표현들:

  • anxiety: 불안
  • open up: 속마음을 털어놓다
  • sharing: 공유하기
  • consider: 고려하다
  • feel anxious: 불안감을 느끼다

3. 경제적 어려움에 시달리다

세 번째로, 경제적인 어려움이나 불안정한 상태를 표현할 때도 쓰입니다. 경제적인 고통이나 압박을 느끼는 상황에 적합한 표현입니다.

 

대화문 3: 재정적 어려움에 처하다
A: My bills keep piling up. I don’t know how to handle it.
B: It sounds like you’re suffering from financial stress.
A: I think I am. It’s overwhelming.
B: Maybe a financial advisor could help you manage it.
A: That’s a good idea. I’ll look into it.
B: Financial issues can be tough, but there’s always a solution.

A: 청구서가 계속 쌓여서 어떻게 할지 모르겠어.
B: 재정적 스트레스를 겪고 있는 것 같은데.
A: 맞아, 너무 버겁게 느껴져.
B: 재정 상담사가 관리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거야.
A: 좋은 생각이야. 알아봐야겠어.
B: 재정 문제는 어려울 수 있지만, 항상 해결책이 있으니까.

해설: A는 청구서와 경제적 압박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B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보라는 조언을 합니다. 이처럼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상황에서도 ‘suffer from’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쓸만한 표현들:

  • pile up: 쌓이다
  • financial stress: 재정적 스트레스
  • overwhelming: 버거운
  • financial advisor: 재정 상담사
  • manage: 관리하다

4. 관계에서의 어려움을 겪다

네 번째로, 사람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갈등이나 어려움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인간관계에서의 고통을 나타냅니다.

 

대화문 4: 가족과의 갈등을 겪고 있는 상황
A: My relationship with my dad has been rough lately.
B: You might be suffering from family issues. Want to talk about it?
A: I don’t know where to start. It’s complicated.
B: Take your time. Sometimes just expressing it can help.
A: I guess I’m feeling misunderstood by him.
B: That’s tough. Maybe finding common ground could help.

A: 아빠와의 관계가 요즘 힘들어.
B: 가족 문제로 고통받고 있는 것 같아. 이야기해 볼래?
A: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어. 복잡해.
B: 천천히 해. 때로는 그냥 표현하는 것만으로도 도움이 돼.
A: 아빠가 날 오해하고 있는 것 같아.
B: 힘들겠다. 공통점을 찾는 게 도움이 될지도 몰라.

해설: A는 아버지와의 관계에서 갈등을 겪고 있으며, B는 공감을 표시하고 조언을 건넵니다. 이처럼 관계의 어려움에도 ‘suffer from’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쓸만한 표현들:

  • relationship: 관계
  • family issues: 가족 문제
  • expressing: 표현하기
  • misunderstood: 오해받는
  • finding common ground: 공통점을 찾기

5. 일이나 학업에서의 스트레스에 시달리다

마지막으로, 일이나 학업에서 겪는 스트레스나 부담감을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이 표현은 일상적인 스트레스 상황에 매우 적합합니다.

 

대화문 5: 업무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상황
A: I feel drained after every workday lately.
B: Sounds like you’re suffering from burnout. Have you taken any time off?
A: No, I’ve just been pushing through.
B: Maybe you need a break. Sometimes, stepping back helps.
A: You’re right. I can’t keep this pace forever.
B: Exactly. Taking care of yourself is important, too.

A: 요즘은 퇴근할 때마다 완전히 지쳐.
B: 번아웃을 겪고 있는 것 같아. 휴가를 낸 적 있어?
A: 아니, 그냥 계속 버티고 있어.
B: 쉬는 게 필요할지도 몰라. 가끔은 잠시 뒤로 물러나는 게 도움이 돼.
A: 맞아. 이 속도로는 계속할 수 없을 거야.
B: 그렇지. 스스로를 돌보는 것도 중요해.

해설: 이 대화에서는 A가 업무 스트레스로 인해 피로를 느끼는 상황이며, B는 휴식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업무나 학업의 스트레스 역시 ‘suffer from’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쓸만한 표현들:

  • drained: 지친
  • burnout: 번아웃
  • time off: 휴가
  • push through: 계속 버티다
  • take care of yourself: 자신을 돌보다

정리하며

오늘 살펴본 ‘suffer from’은 다양한 고통과 어려움을 표현하는 데 매우 유용한 표현입니다. 첫째로, 신체적인 고통, 특히 만성 질환을 겪을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둘째로, 불안감이나 우울증 같은 감정적 고통을 표현할 수 있으며, 셋째로는 경제적 어려움에 시달리는 상황에 활용됩니다. 넷째로는 가족이나 친구와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나타낼 때, 마지막으로는 직장에서의 스트레스와 같은 업무 부담을 표현하는 데 적합합니다.

이처럼 ‘suffer from’은 일상 속에서 다양한 형태의 고통을 세심하게 표현해 줍니다. 우리가 겪는 신체적, 감정적, 경제적 어려움을 자연스럽게 전달하는 이 표현을 활용해, 주변 사람들에게 우리의 상황을 좀 더 효과적으로 전달해 보세요. 때로는 이 표현 하나로도 어려움을 이해받고 공감을 얻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앞으로 이 표현을 통해 다양한 고통을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는 힘을 키워보시길 바라며 오늘의 글을 마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