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ll About English

throw up 뜻 5가지 대화문으로 정복하기

by Feeder 2024. 10. 15.

"Throw up"는 어떤 의미일까?

 

제가 대학생 새내기 시절에 엠티를 갔다가 술을 너무 많이 마셔 속이 메스꺼웠던 기억이 납니다. 그때의 경험은 잊을 수 없죠. 바로 그때 저는 영어로 "throw up"이라는 표현을 처음 경험하게 되었습니다. 이 표현은 구토를 의미하는 것 외에도, 다양한 맥락에서 다양한 뜻으로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일상생활에서 자주 등장하는 이 표현은 상황에 따라 그 의미가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throw up'의 다섯 가지 뜻과 용법을 살펴보며, 이 표현을 일상 속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throw up 5가지 뜻과 용법 메인사진입니다.


1. 구토하다

가장 일반적인 의미로, 음식을 토해내는 것을 뜻합니다. 주로 몸이 아프거나 과음했을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대화문 1: 과음 후 구토하는 상황
A: I drank too much last night. I feel awful.
B: Yeah, I saw you. You even threw up in the cab.
A: Ugh, don’t remind me. I still feel nauseous.
B: Next time, maybe pace yourself a bit.
A: Definitely. That was a rough night.
B: Hey, it happens. Just take it easy today.

A: 어젯밤에 술을 너무 많이 마셨어. 정말 속이 안 좋아.
B: 응, 내가 봤어. 택시에서도 토했잖아.
A: 아, 그 말은 하지 마. 아직도 속이 울렁거려.
B: 다음엔 조금 천천히 마시는 게 좋을 것 같아.
A: 당연하지. 정말 힘든 밤이었어.
B: 가끔 그럴 때도 있는 거지. 오늘은 좀 쉬어.

해설: 이 대화는 과음 후 구토한 상황을 다루고 있습니다. B는 친구 A가 전날 과음으로 인해 택시에서 구토한 것을 기억하고 있고, A는 아직도 메스꺼운 기분을 느끼고 있습니다. 이처럼 'throw up'은 술이나 음식 등으로 인해 몸이 안 좋아 구토하는 상황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쓸만한 표현들:

  • throw up: 구토하다
  • nauseous: 메스꺼운
  • pace yourself: 조절하다
  • take it easy: 쉬다
  • feel awful: 기분이 나쁘다, 속이 안 좋다

728x90

2. 무언가를 들어 올리다

두 번째로, 물리적으로 무언가를 들어 올리는 동작을 나타낼 때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갑자기 팔을 들어 올리거나 벽을 세우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대화문 2: 새로 걸린 깃발에 대한 두 사람의 대화
A: Did you see the new flag they threw up at the entrance?
B: Yeah, it’s huge! It really stands out.
A: They threw it up so fast. I didn’t even notice them working on it.
B: They must’ve had a big crew working overnight.
A: It adds a nice touch to the entrance, though.
B: Definitely, it makes the place feel more official.

A: 입구에 새로 걸린 깃발 봤어?
B: 응, 엄청 크더라! 정말 눈에 띄네.
A: 정말 빨리 설치했어. 작업하는 것도 못 봤어.
B: 아마도 밤새 큰 팀이 작업했나 봐.
A: 그래도 입구에 멋진 포인트가 되는 것 같아.
B: 맞아, 장소가 더 공식적인 것으로 느껴져.

해설: 이 대화에서는 깃발을 빠르게 설치한 상황을 다루고 있습니다. 'throw up'은 물리적으로 깃발이나 구조물을 빠르게 세우거나 올리는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A와 B는 새로 세운 깃발이 공간을 더 돋보이게 만드는 효과를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쓸만한 표현들:

  • throw up: 들어 올리다, 세우다
  • stand out: 눈에 띄다
  • crew: 팀, 작업 인원
  • overnight: 밤새
  • official: 공식적인

3. 토론에서 의문이나 이슈를 제기하다

세 번째로, 논의 중에 질문이나 문제를 제기할 때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회의나 토론에서 특정 주제를 갑자기 꺼내는 경우에 자주 쓰입니다.

 

대화문 3: 회의에서 문제를 제기하는 상황
A: During the meeting, John threw up some concerns about the budget.
B: Oh, really? I thought the budget was settled.
A: Apparently not. He thinks we’re overspending on marketing.
B: I guess we’ll have to revisit those numbers, then.
A: Yeah, better to address it now before it becomes a bigger issue.
B: Agreed. We don’t want any surprises later.

A: 회의 중에 존이 예산에 대해 몇 가지 문제를 제기했어.
B: 아, 정말? 난 예산이 이미 정해진 줄 알았는데.
A: 아닌가 봐. 그가 말하길 마케팅에 과다 지출하고 있다고 해.
B: 그럼 그 숫자들을 다시 살펴봐야겠네.
A: 맞아, 더 큰 문제가 되기 전에 지금 해결하는 게 나아.
B: 동의해. 나중에 문제 생기는 건 원하지 않으니까.

해설: 이 대화에서는 회의 중에 존이 예산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 상황을 다루고 있습니다. 'throw up'은 여기서 논의의 중심에 있는 문제나 이슈를 갑자기 제기하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B는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시 검토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으며, 이를 미리 처리함으로써 더 큰 문제를 피하려고 합니다.

쓸만한 표현들:

  • throw up concerns: 문제를 제기하다
  • overspend: 과다 지출하다
  • address: 해결하다
  • revisit: 다시 살펴보다
  • issue: 문제

4. 멀리 던지다

네 번째로, 무언가를 던지다의 의미로도 쓰입니다. 여기서는 누군가 또는 무언가를 멀리 던지거나 날려버리는 동작을 설명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대화문 4: 공을 멀리 던지는 상황
A: Wow, did you see how far he threw up that ball?
B: Yeah, it went all the way across the field!
A: I didn’t know he had such a strong arm.
B: Neither did I. He could probably make it onto a pro team with that throw.
A: No kidding. That was impressive.
B: Let’s see if he can do it again.

A: 와, 그가 공을 얼마나 멀리 던졌는지 봤어?
B: 응, 필드 끝까지 날아갔어!
A: 그가 그렇게 팔 힘이 센 줄 몰랐네.
B: 나도 몰랐어. 저 정도면 프로팀에 들어갈 수도 있겠어.
A: 맞아, 정말 대단했어.
B: 다시 한번 해보는지 보자.

해설: 이 대화는 운동장에서 공을 멀리 던진 상황을 묘사합니다. 'throw up'은 이 경우 물리적으로 무언가를 멀리 던지는 의미로 사용되며, A와 B는 그 던짐에 놀라움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무언가를 힘껏 던지는 상황에서도 이 표현이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쓸만한 표현들:

  • throw up: 멀리 던지다
  • all the way: 끝까지
  • strong arm: 힘센 팔
  • impressive: 인상적인
  • pro team: 프로팀

5. 연기를 내뿜다

마지막으로 연기나 먼지 같은 물질을 공중으로 내뿜을 때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주로 공장, 차량, 또는 화산이 연기를 내뿜는 경우에 자주 쓰입니다.

 

대화문 5: 공장이 연기를 내뿜는 상황
A: Have you seen the factory down the road? It’s throwing up a lot of smoke.
B: Yeah, I noticed that too. It looks like something’s wrong.
A: I hope it’s not dangerous. That can’t be good for the environment.
B: Definitely not. They should do something about it soon.
A: Maybe we should report it to the local authorities.
B: That’s a good idea. Better to be safe than sorry.
A: I’ll make a call later today and let them know.
B: Thanks, I think that’s the right thing to do.

A: 그 도로 끝에 있는 공장 봤어? 연기를 엄청 많이 내뿜고 있어.
B: 응, 나도 봤어. 뭔가 문제가 있는 것 같아.
A: 위험하지 않길 바라지만, 환경에 안 좋을 거야.
B: 당연히 좋을 리가 없지. 빨리 뭔가 조치를 취해야 할 텐데.
A: 지역 담당기관에 신고하는 게 좋을 것 같아.
B: 좋은 생각이야. 조심해서 나쁠 건 없다.
A: 오늘 나중에 전화해서 알려줄게.
B: 고마워. 그게 옳은 일인 것 같아.

해설: 이 대화에서는 공장에서 발생한 연기에 대한 걱정을 나누고 있습니다. A와 B는 공장이 내뿜는 연기가 환경에 좋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하고, 이를 당국에 신고하기로 결정합니다. 'throw up'은 이처럼 연기나 먼지 같은 물질이 공중으로 배출되는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는 일상적인 대화뿐만 아니라 환경 문제에 대한 논의에서도 유용한 표현입니다.

쓸만한 표현들:

  • throw up smoke: 연기를 내뿜다
  • dangerous: 위험한
  • environment: 환경
  • local authorities: 지역 담당기관
  • better to be safe than sorry: 조심해서 나쁠 건 없다

정리하며

오늘 살펴본 'throw up'은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재다능한 표현입니다. 첫 번째로, 구토하는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과음이나 병으로 인해 발생하는 상황을 잘 표현합니다. 두 번째로, 무언가를 들어 올리거나 세우는 동작을 나타낼 때도 유용합니다. 세 번째로는 논의 중에 문제를 제기하거나 이슈를 언급할 때 사용할 수 있고, 네 번째로는 물리적으로 멀리 무언가를 던질 때 사용됩니다. 마지막으로, 연기나 먼지 같은 물질이 공중으로 배출되는 상황에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처럼 'throw up'은 일상에서 우리가 흔히 마주치는 다양한 상황에 활용할 수 있는 표현입니다. 여러분도 이 표현을 익혀서 적재적소에 사용할 수 있기를 바라며 오늘의 글을 마칩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