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ll About English

cater to 뜻과 용법 5가지 대화문을 따라하며 끝내기

by Feeder 2024. 11. 6.

"Cater to"는 어떤 의미일까?

 

여러분은 혹시 상대방의 기호에 맞추어 정성을 기울이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지 생각해 본 적이 있나요? 고객의 취향에 맞춘 맞춤형 서비스, 연인의 취미를 존중하며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것, 또는 특별한 식단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세심한 배려를 하는 것 모두 우리가 상대방을 어떻게 대하는지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영어 표현 중 ‘cater to’는 바로 이런 식으로 상대방의 필요와 기호에 맞춰 제공하고 배려하는 행동을 나타냅니다. 이 표현은 주로 비즈니스에서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강조할 때 사용되지만, 일상생활에서도 매우 유용하게 쓰입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cater to’의 다섯 가지 의미와 그 용법을 다양한 예시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cater to 5가지 뜻과 용법 메인사진입니다.


1. 특정 사람의 기호에 맞추다

첫 번째 의미는 특정 대상의 취향이나 요구에 맞추는 것입니다. 이는 주로 고객이나 클라이언트의 기호를 반영해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때 많이 사용됩니다.

 

대화문 1: VIP 고객의 기호 맞추기
A: We need to make sure this event caters to our VIP clients.
B: Absolutely. What specific things do they prefer?
A: They usually like gourmet food and a private area.
B: Alright, let’s set up a secluded section with a customized menu.
A: Perfect. They’ll feel like we’re really paying attention to them.
B: That’s the goal – make them feel special.

A: 이번 행사는 VIP 고객들에게 맞춰야 해.
B: 맞아. 그들이 구체적으로 선호하는 게 뭐야?
A: 주로 고급 음식과 프라이빗 공간을 좋아해.
B: 알겠어. 조용한 구역과 맞춤형 메뉴를 준비하자.
A: 완벽해. 그들이 우리가 정말 신경 쓴다는 걸 느낄 거야.
B: 바로 그거지. 특별하게 느끼게 만드는 게 목표야.

해설: 이 대화에서는 VIP 고객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서비스를 준비하는 상황입니다. B는 그들의 기호에 맞춘 장소와 음식을 준비해 고객이 특별함을 느끼게 하려 합니다. 이처럼 ‘cater to’는 고객의 요구와 기호를 만족시키기 위해 서비스를 맞추는 데 쓰입니다.

쓸만한 표현들:

  • cater to: ~의 기호에 맞추다
  • VIP clients: VIP 고객
  • secluded section: 조용한 구역
  • customized menu: 맞춤형 메뉴
  • make them feel special: 특별하게 느끼게 하다

728x90

2. 누군가의 욕구를 충족하다

두 번째 용법은 특정 사람의 요구나 욕구를 충족시키는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이는 상대방의 바람이나 기대를 만족시키기 위해 노력할 때 쓰기 적합합니다.

 

대화문 2: 가족의 욕구 충족하기
A: I’m planning a family vacation, but I want it to cater to everyone’s needs.
B: That’s tricky. What does everyone want?
A: The kids want an amusement park, my partner wants a spa, and my parents want somewhere quiet.
B: Maybe a resort with everything would work?
A: Good idea. That way, each of them can enjoy what they like.
B: And you’ll have a perfect vacation.

A: 가족 여행을 계획 중인데, 모두의 욕구를 충족하고 싶어.
B: 쉽지 않겠는데. 모두가 원하는 게 뭐야?
A: 애들은 놀이공원을 원하고, 파트너는 스파를, 부모님은 조용한 곳을 원해.
B: 모든 게 있는 리조트는 어때?
A: 좋은 생각이야. 그럼 각자 원하는 걸 즐길 수 있겠네.
B: 그럼 완벽한 휴가가 되겠어.

해설: 가족 구성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맞춤형 휴가를 계획하는 상황입니다. 서로의 다양한 요구를 모두 충족시키기 위해 적합한 여행지를 찾고자 하는 장면에서 ‘cater to’가 사용되었습니다.

쓸만한 표현들:

  • cater to everyone’s needs: 모두의 욕구를 충족하다
  • tricky: 까다로운
  • resort: 리조트
  • enjoy what they like: 각자 좋아하는 것을 즐기다
  • perfect vacation: 완벽한 휴가

3. 특정 그룹의 취향에 맞추다

세 번째로, 이 표현은 종종 특정 집단이나 세대의 요구에 맞춘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젊은 세대나 어린이의 취향에 맞춘 마케팅에서 자주 쓰입니다.

 

대화문 3: 젊은 세대에 맞춘 제품 개발
A: We should design this app to cater to younger audiences.
B: Agreed. What features do you think they’d enjoy?
A: Probably interactive elements and social media integration.
B: That makes sense. They’re all about connectivity.
A: Exactly. If we cater to their preferences, it’ll gain popularity.
B: Let’s make it happen.

A: 이 앱은 젊은 세대에 맞춰 디자인해야 해.
B: 동의해. 어떤 기능을 추가하면 좋을까?
A: 아마도 상호작용 요소와 소셜 미디어 연동일 거야.
B: 그렇지. 그들은 연결성을 중시하잖아.
A: 맞아. 그들의 취향에 맞추면 인기를 얻을 거야.
B: 실행에 옮기자.

해설: 젊은 사용자들의 취향을 고려해 앱을 설계하는 장면입니다. 이처럼 특정 그룹에 맞춘 제품이나 서비스를 설계할 때 ‘cater to’가 유용하게 쓰입니다.

쓸만한 표현들:

  • cater to younger audiences: 젊은 세대에 맞추다
  • interactive elements: 상호작용 요소
  • social media integration: 소셜 미디어 연동
  • all about connectivity: 연결성을 중시하는
  • gain popularity: 인기를 얻다

4. 특정 상황에 맞추어 준비하다

어떤 상황에 맞추어 특별히 준비를 하는 상황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날씨나 행사에 맞추어 준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대화문 4: 비 오는 날씨에 맞춘 계획
A: Looks like it’s going to rain during our outdoor event.
B: Then we should cater to that and get some tents set up.
A: Good idea. Should we also provide umbrellas?
B: Yes, and maybe some warm drinks to keep people comfortable.
A: I like that. Let’s make sure no one feels inconvenienced by the weather.
B: That’s the spirit.

A: 야외 행사 때 비가 올 것 같아.
B: 그럼 그에 맞춰서 텐트를 준비해야겠네.
A: 좋은 생각이야. 우산도 제공할까?
B: 그래, 사람들을 위해 따뜻한 음료도 준비하면 좋겠어.
A: 마음에 들어. 날씨 때문에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해야지.
B: 바로 그거야.

해설: 비 오는 날씨에 맞추어 계획을 조정하는 상황으로, 행사에 맞춘 준비를 위해 ‘cater to’가 사용되었습니다.

쓸만한 표현들:

  • cater to that: 상황에 맞추다
  • get some tents set up: 텐트를 준비하다
  • provide umbrellas: 우산을 제공하다
  • warm drinks: 따뜻한 음료
  • feel inconvenienced: 불편함을 느끼다

5. 특정 기호나 관심사를 충족시키다

마지막으로, 특정 관심사나 취향을 가진 사람들에게 맞춘 서비스를 제공할 때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소비자들의 취미나 라이프스타일에 맞춘 서비스를 지칭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대화문 5: 취미에 맞춘 상점 운영
A: Our new shop should cater to art enthusiasts.
B: Definitely. We could have art supplies, workshops, and galleries.
A: I think they’d love a place to create and display their work.
B: And maybe we can feature local artists regularly.
A: That would make it unique. People would feel connected to the community.
B: Let’s go for it.

A: 새 상점은 예술 애호가들에게 맞춰야 해.
B: 당연하지. 미술 용품, 워크숍, 갤러리를 마련할 수 있어.
A: 그들은 작품을 만들고 전시할 수 있는 곳을 좋아할 거야.
B: 정기적으로 지역 예술가들을 소개하는 것도 좋겠어.
A: 그럼 특별해지지. 사람들이 지역 사회와 연결된 느낌을 받을 거야.
B: 실행에 옮기자.

해설: 예술 애호가들의 취향에 맞춘 상점을 기획하는 장면입니다. 이처럼 ‘cater to’는 특정 관심사에 맞춘 서비스를 제공할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상점 운영 방식을 예술과 커뮤니티에 집중해 고객에게 특별한 경험을 제공하고자 하는 의도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쓸만한 표현들:

  • cater to art enthusiasts: 예술 애호가들에게 맞추다
  • art supplies: 미술 용품
  • workshop: 워크숍
  • feature local artists: 지역 예술가들을 소개하다
  • feel connected to the community: 지역 사회와 연결된 느낌을 받다

정리하며

오늘 살펴본 ‘cater to’는 상대방의 기호, 욕구, 특정 상황에 맞추어 정성을 다하는 의미로,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첫 번째로, 특정 대상의 취향에 맞춘 서비스 제공, 두 번째로 개인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맞춤형 준비, 세 번째로 특정 집단의 기호에 맞추는 전략, 네 번째로 상황에 맞추어 조정하는 준비, 마지막으로 특정 취미나 관심사를 충족시키는 방식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이 표현은 개인적 관계뿐 아니라 비즈니스 상황에서도 상대방을 배려하는 태도를 드러낼 수 있는 유용한 표현입니다. 우리가 상대방의 필요에 맞추어 세심한 준비를 한다면, 이는 신뢰와 만족감을 높이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앞으로 다양한 상황에서 상대방의 필요와 기호를 존중하고 충족시키는 태도를 실천하며, 여러분이 더 나은 관계와 경험을 만들어 가시길 바라며 오늘의 글을 마칩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