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ll About English

resort to 5가지 뜻과 용법 대화문으로 완벽 정리

by Feeder 2024. 11. 24.

최후의 수단의 표현 "Resort to"

 

우리 모두가 어려운 상황에 부딪힐 때, 어떤 선택을 해야 할지 고민하는 순간이 있습니다. 평소에 시도하지 않던 방법을 써야 할 때도 있고, 마지막 수단으로 무언가에 의존해야 할 때도 있죠. 오늘의 주제인 "resort to"는 바로 이러한 상황에서 주로 쓰이는 표현입니다. "resort to"는 어떤 상황에서 특정 방법이나 수단에 의존하게 될 때 쓰이는 표현으로, 그 방법이 최후의 수단이거나 의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묘사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표현의 다섯 가지 다양한 의미와 용법을 살펴보고, 실생활에서 어떻게 이 표현을 사용할 수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resort to 5가지 뜻과 용법 메인사진입니다.


1. 최후의 수단으로 의존하다

첫 번째 의미는 더 이상 다른 선택지가 없을 때 결국 의존하게 되는 마지막 수단을 의미합니다. 이는 종종 문제가 심각할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 의도하지 않던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대화문 1: 마지막 방법으로 의존하는 상황
A: I’ve tried everything to fix this issue, but nothing works.
B: So, are you going to resort to calling tech support?
A: I didn’t want to, but I might have to.
B: Sometimes, there’s no other choice.
A: I just hate waiting on hold forever.
B: True, but they might solve it faster than you think.

A: 문제를 해결하려고 다 해봤는데, 아무것도 효과가 없네.
B: 그럼 이제 기술 지원을 받아볼 수밖에 없겠네?
A: 그러고 싶진 않았는데, 해야 할 것 같아.
B: 가끔은 다른 선택지가 없지.
A: 대기 시간이 너무 길어서 싫어.
B: 맞아, 그래도 의외로 빨리 해결될 수도 있어.

해설: A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을 시도했지만, 결국 기술 지원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였습니다. 이 대화는 "resort to"가 선택지가 거의 없을 때 마지막으로 의존하게 되는 수단을 의미할 때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쓸만한 표현들:

  • resort to: ~에 의존하다
  • tech support: 기술 지원
  • fix: 고치다
  • on hold: 대기 중
  • solve: 해결하다

728x90

2. 강력한 방법에 호소하다

두 번째로, 강력하고 때로는 극단적인 방법을 사용할 때도 사용됩니다. 이런 경우, 평소에는 사용하지 않던 방법을 시도하게 되는 상황입니다.

 

대화문 2: 극단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상황
A: I can't believe he's threatening to sue.
B: I guess he had no other option left.
A: Still, going that far seems extreme.
B: Well, when you’re desperate, you resort to anything.
A: I hope it doesn’t come to that.
B: Me too. Lawsuits are never pleasant.

A: 그가 소송을 걸겠다고 협박할 줄은 몰랐어.
B: 아마 다른 선택지가 없었던 모양이야.
A: 그래도 그렇게까지 하는 건 너무 과한 것 같은데.
B: 글쎄, 사람이 절박해지면 뭐든 하게 되잖아.
A: 그렇게 되지 않길 바라.
B: 나도 그래. 소송은 결코 유쾌하지 않지.

해설: B는 절박한 상황에서 사람들은 평소에 하지 않던 극단적인 방법까지도 선택하게 된다고 설명합니다. 이는 "resort to"가 평상시에는 사용하지 않지만, 상황이 급박해질 때 사용되는 수단을 나타낼 때 적합함을 보여줍니다.

쓸만한 표현들:

  • threaten: 협박하다
  • sue: 소송하다
  • extreme: 극단적인
  • desperate: 절박한
  • lawsuit: 소송

3. 비상 상황에서 대비책으로 사용하다

세 번째로, 비상 상황에 대비하여 준비해 둔 방법에 의존하게 될 때 사용됩니다. 이는 미리 준비한 마지막 대응책을 뜻할 때도 있습니다.

 

대화문 3: 대비책 사용하기
A: We might have to resort to our backup plan.
B: Do you think the situation’s that bad?
A: If things get any worse, yes.
B: Alright, I’ll prepare everything just in case.
A: Good idea. Better safe than sorry.
B: Exactly. A solid backup is always smart.

A: 우리 플랜 B에 의존해야 할 수도 있어.
B: 상황이 그렇게 나빠졌다고 생각해?
A: 더 나빠지면 그럴 거야.
B: 좋아, 만약의 경우를 대비해 다 준비할게.
A: 좋은 생각이야. 안전하게 준비하는 게 좋지.
B: 맞아. 철저한 대비는 언제나 현명한 일이지.

해설: A와 B는 상황이 더 나빠질 경우, 준비해 둔 백업 플랜을 사용할 것을 염두에 둡니다. 여기서 "resort to"는 예상치 못한 상황을 대비하여 준비한 최후의 대비책에 의존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쓸만한 표현들:

  • backup plan: 대비책
  • situation: 상황
  • just in case: 만약의 경우에 대비해서
  • prepare: 준비하다
  • solid: 확실한

4. 소모적인 방식에 의존하다

네 번째로, 마지막 방법으로 다소 소모적인 방식을 선택할 때도 사용됩니다. 이는 선택지가 없을 때 사용하는 방식이지만, 더 많은 비용이나 노력이 필요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대화문 4: 비용이 많이 드는 방법 선택하기
A: Do we really need to resort to hiring extra help?
B: I think so. We’re falling behind schedule.
A: It’s going to be expensive, though.
B: True, but we don’t have much choice.
A: Alright, let’s start the hiring process.
B: I’ll handle it. We’ll get back on track soon.

A: 정말 추가 인력을 고용해야 할까?
B: 그래야 할 것 같아. 일정이 늦어지고 있어.
A: 비용이 꽤 들 텐데.
B: 맞아, 하지만 선택의 여지가 별로 없어.
A: 좋아, 그럼 채용 절차를 시작하자.
B: 내가 처리할게. 곧 다시 제 궤도에 오를 거야.

해설: A와 B는 프로젝트가 늦어지고 있어 고비용이 드는 추가 인력 고용을 선택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이처럼 "resort to"는 선택지가 많지 않지만 더 많은 자원을 소모해야 하는 상황에서의 선택을 나타낼 때 유용합니다.

쓸만한 표현들:

  • hire extra help: 추가 인력을 고용하다
  • fall behind schedule: 일정이 늦어지다
  • expensive: 비싼
  • hiring process: 채용 절차
  • get back on track: 다시 궤도에 오르다

5. 평소와 다른 해결책에 의존하다

마지막으로 평소와 다른 해결책이나 방식을 사용할 때도 유용하게 쓰입니다. 이는 예상하지 못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대안을 선택하는 상황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대화문 5: 다른 해결책 사용하기
A: We’ve never tried this method before.
B: Well, sometimes you have to resort to unconventional ways.
A: I hope it works.
B: Me too. It’s worth a shot.
A: Alright, let’s give it a go.
B: Agreed. At least we’re trying something new.

A: 이 방법을 써본 적은 한 번도 없는데.
B: 글쎄, 가끔은 비전통적인 방법에 의존해야 할 때도 있지.
A: 잘 되면 좋겠다.
B: 나도 그래. 한 번 해볼 만한 가치가 있어.
A: 좋아, 그럼 해보자.
B: 그래. 적어도 새로운 걸 시도하고 있잖아.

해설: A와 B는 평소에 사용하지 않던 방법을 시도해 보려는 상황입니다. 여기서 "resort to"는 전통적인 해결책이 아니지만, 상황에 맞춰 새로운 시도를 할 때 유용한 표현임을 보여줍니다.

쓸만한 표현들:

  • method: 방법
  • unconventional: 비전통적인
  • worth a shot: 해볼 만한 가치가 있는
  • give it a go: 시도해 보다
  • try something new: 새로운 것을 시도하다

정리하며

오늘 "resort to"의 여러 용법을 통해,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다양한 선택을 하게 되는 경우를 살펴보았습니다. 첫 번째로는 마지막 수단으로 선택할 때의 상황을, 두 번째로는 다소 극단적인 방법을 선택할 때의 용법을 배웠습니다. 세 번째로는 비상 상황을 대비한 대비책에 의존하는 경우, 네 번째로는 소모적인 방법을 선택할 때, 마지막으로는 평소와 다른 해결책을 선택해야 할 때의 용법을 다루었습니다.

"Resort to"는 단순히 방법을 선택하는 것을 넘어, 선택의 과정에서의 고민과 의지를 나타내는 중요한 표현입니다.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결정을 내릴 때 이 표현을 적절히 사용하여, 여러분의 선택에 대한 확신과 이유를 더욱 분명하게 전달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때로는 우리에게 제한된 선택지가 주어지지만, 그 안에서 최선을 다하는 자세가 가장 큰 힘이 될 것입니다.

728x90

댓글